[동아일보·채널A 공동취재]위안부 피해 첫 증언 배봉기 할머니 1970년대 다큐영화 日서 재상영 관객들 “여성에게 이런 폭력을…”
‘나는 종군위안부였다.’
1991년 8월 고 김학순 할머니(1924∼1997)가 이처럼 아픈 과거를 증언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이보다 앞서 1975년 10월 일본 오키나와(沖繩)에 배봉기 할머니(1914∼1991)가 있었다는 사실은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 1970년대에 야마타니 데쓰오(山谷哲夫·71) 감독이 배 할머니를 인터뷰한 기록영화 ‘오키나와의 할머니’를 아는 사람은 더 드물다. 7일 이 영화가 일본 도쿄 시부야의 소형 극장에서 상영됐다.
배 할머니가 원해서 과거를 드러낸 건 아니었다. 1944년부터 오키나와의 외딴섬 도카시키(渡嘉敷)에서 위안부 생활을 강요당하다가 종전을 맞았다.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1975년 불법체류로 강제추방 위기에 처하자 당국에 자신의 사연을 밝혔다. 특별영주 자격을 얻은 뒤 현지 신문에 가명으로 응한 인터뷰에서 그는 “전쟁터에서의 일이 부끄러워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고 말했다.
1978년 자신의 거처로 쓰던 두 평도 되지 않는 헛간 같은 집에서 감독과 인터뷰하는 배봉기 할머니. 할머니는 이 집의 월세가 2000엔이라고 했다. 영화 ‘오키나와의 할머니’
영화는 당시 도카시키섬의 위안소 흔적도 찾아갔다. 위안소 옆집에 살던 43세 아들은 “난 그때 8, 9세 때여서 무슨 의미인지 몰랐다. 훗날 그게 위안소였다는 걸 알고 나니, 그 누나들이 정말 안됐더라”고 말했다. 69세가 된 그의 어머니는 조선인 위안부 7명의 이름을 하나하나 꼽으며 그들이 “이런 게 아니었는데”라며 자주 울었다고 전했다. “식당 일 돕는 줄 알고 왔는데 이런 일이었다니, 정말 불쌍했다.”
야마타니 감독이 이 영화를 찍던 1970년대는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갖기 전이었다. 피해자를 수소문하던 중 만난 최창규 전 건축가협회 회장(당시 59세)은 “일본의 제 또래 남성들이 진상을 알면서도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입을 다물고 있어 심히 유감”이라며 자신이 보고 들은 위안소의 실상을 증언해줬다.
‘오키나와의 할머니’는 최소한의 편집만 된 다큐멘터리지만 7일 상영회는 58석 전석이 매진됐다. 관객 도야마 고이키(外山小粹·23) 씨는 “전쟁이 여성에게 어떻게 보이지 않는 폭력을 행사했고, 그 폭력이 전쟁이 끝난 뒤에도 어떻게 이어졌는지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고 있다는 도토리 다쿠야(都鳥拓也·35) 씨는 “이런 기록이 남아 있고 아직도 보러 오는 사람들이 있다는 게 놀랍다”며 “영화의 존재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본의 젊은 세대들이 볼 수 있는 기회가 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도쿄=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