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114에 따르면 종부세가 첫 도입된 시기는 2005년(노무현 정부)으로 당시 서울에서 6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아파트는 전체 118만7792가구 중 6만6841가구(5.63%) 수준으로 집계됐다. 사실상 고가아파트가 매우 희소했던 시기로 볼 수 있다. 반면 2018년 6월 현재는 서울 전체 159만9732가구 중 32만460가구(20.03%)가 6억 원을 초과하는 고가아파트로 확인된다. 2005년 대비 물량이 5배 가량 늘어났으며, 서울 아파트 10가구 중 2가구는 6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아파트로 해석할 수 있다.
일부 지역에 국한됐던 고가아파트 범위도 크게 확대됐다. 2005년에는 서울 강남, 서초, 송파, 용산구 등 4개 지역만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초과했다. 하지만 현재는 서울 13개구의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초과할 뿐만 아니라 서울 전체의 호당 평균가격이 7.7억 원으로 확인된다. 게다가 현재는 경기도 과천(10.6억)과 성남(6.9억)도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넘어섰다.
주택에 대한 보유세 개편 방향은 크게 세 가지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연 5%포인트씩 90%까지 인상, 과표 6억원 초과 세율은 0.1~0.5%p 인상, 3주택 이상자는 0.3%p 추가과세 등이다. 정부 개편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27.4만명의 세금 부담이 1,521억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단순 계산하면 1인 당 평균 55만원 가량 세금이 증가하는 수준으로, 시장의 우려감은 생각보다 크지 않은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대비 고가아파트 물량이 5배 가량 늘어났고 지역 범위까지 크게 확대된 상황인 만큼, 종부세 개편 효과는 ‘똘똘한 한 채’로 시장 트렌드가 심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닷컴 이은정 기자 ej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