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진옥 전 인제대 영어교육과 교수
첫째, 사회 각계각층과의 소통이 부족하다. 그 증거로 국가교육회의가 교육부에 권고한 대입제도 개편안에 대해 반발이 거세다. 일부 시민단체는 공론화위원회 방안대로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다른 시민단체는 공론화 과정에 문제가 있다며 감사원 감사를 청구했다. 특히 교육단체는 시민단체와는 정반대로 교육부에 국가교육회의 권고안을 받아들이지 말라고 촉구했다. 전국 시도 교육감까지 대입 개편안에 강력 반발했다.
둘째, 교육 전문가를 교육 정책 결정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 시민 참여단만 구성할 게 아니라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다양한 현직 교육 전문가를 참여단에 참여시켜야 하지만 빠졌다.
넷째, 전시행정에서 벗어나야 한다. 선발표 후수습이라는 악순환만 가져올 뿐이다. 17일 발표한 교육부 대입 개편안에서 정시 확대는 특수목적고, 외국어고, 자율형사립고에 유리하게 됐다. 하지만 학생의 발달과 다양한 진로, 적성에 맞는 활동을 장려한다는 2015년 교육 과정 개정의 발표 목적과는 상반되는 내용이다.
이 같은 총체적 문제점 때문에 각계각층에서 반발이 심해지자 교육부가 여론 잠재우기식의 어정쩡한 봉합 정책을 발표했다. 수능 전형 비율 30% 이상 확대는 시민 공론화위원회 설문 조사를 참고했으나 여전히 여론의 반발이 거세고, 수능 절대평가 과목을 영어와 한국사 이외에 제2외국어와 한문을 추가한 것은 국가교육회의 권고안을 수용한 것이다. 사회제도와 교육 개혁이 병행돼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육 현장과 전문성을 중시하고 여러 문제점을 교육 전문가들과 소통하는 교육부의 자세가 선행돼야 한다는 점이다.
홍진옥 전 인제대 영어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