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을 위한 나라는 어디에]<1>‘노인 체험장비’ 착용하고 서울 도심 걸어보니… 턱 높은 인도, 짧은 신호등 시간 노인친화적 안전인프라 안갖춰져 거리서 치명적 낙상 입는 경우 많아 노인 9% 골절환자, 치료비 年1조
그래픽 서장원 기자
지난달 31일 오후 1시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일대. 40대인 기자가 근력과 시각, 청각을 80대 노인 수준으로 저하시키는 ‘노인 유사체험 장비’를 몸에 착용하고 거리를 3시간 동안 돌아다녔다. 신체 기능이 80대 고령자로 저하된 채 걷기 시작하니 금방 땀이 흘러내렸다. 인도 곳곳에 놓인 입간판과 가로수, 전신주 등 장애물은 노인으로 변한 기자를 쓰러뜨리려고 달려드는 ‘괴물’ 같았다. 턱 높은 인도와 짧은 신호등 시간 등도 노인 외출 시 부상 위험을 높이는 암초들이다.
취재팀은 도로와 인도, 자택, 공공기관 내 화장실, 대중교통, 운전 등 일상 속에서 노인의 안전을 담보하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고령 친화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지 5회에 걸쳐 분석한다.
▼불쑥 솟은 소화전에 “아야!”… 보도 가장자리 푹 꺼져 “어이쿠!”▼
《 왜 나이가 들면 땅만 보고 걷는지 알 것 같았다. 지난달 31일 오후 ‘노인 유사체험 장비’를 온몸에 장착한 기자가 불과 5분 만에 든 생각이다. 이날 복지환경 디자인 전문가인 전미자 한국복지환경디자인연구소 이사장, 서울시 강효진 디자인개발팀장과 함께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주변 도로 일대를 돌아다녔다. 노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도로 곳곳의 장애물을 실제로 겪어보고 우리 사회에 걸맞은 ‘노인 친화 인프라’를 찾기 위한 ‘실험’이었다. 》
두 손목과 발목에 찬 모래주머니와 팔과 무릎에 찬 딱딱한 보호대는 40대인 기자를 80대 노인과 같은 근력 저하 상태로 만들었다. 특수 제작된 조끼를 입자 등은 자연스럽게 7도가량 굽었다. 노인체험 특수안경을 써 노인 안과질환인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이 생겼을 때와 유사한 상태가 됐다. 앞이 뿌옇게 보이고 시야가 평소의 10분의 1 정도로 줄어드니 땅을 보지 않으면 제대로 걸을 수 없었다.
땅바닥을 보고 걷다보니 주변을 둘러볼 수 없었다. 곳곳이 지뢰밭이었다. 종로 인도를 걷다 인도 중간에 불쑥 솟은 소화전, 가로수, 상점 가판대 등을 보지 못해 수시로 다리가 걸려 넘어질 뻔했다. 지하철 종로3가역 5번 출구 앞 강철 맨홀도 무심코 딛다가 미끄러졌다. ‘도로의 구조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은 보행 가능 인도 폭을 최소 1.2m 이상(가로수 제외)으로 규정한다. 하지만 각종 장애물이 많다보니 1m도 안 되는 인도가 태반이었다.
걸으며 쩔쩔매다가 인도 내 전신주에서 늘어진 전선에 걸려 넘어졌다. 30m 정도를 걷다 또다시 발목이 꺾였다. 가로수 보호 철판은 가운데가 4cm가량 움푹 들어가 있었기 때문이다.
인도와 이면도로가 만나는 지점의 턱도 큰 곤욕이었다. 인도의 중간부분은 이면도로와의 단차(段差)를 완만하게 해주는 보도블록이 설치돼 있었지만 인도의 끝부분은 턱부분, 즉 연석(보도와 차도의 경계석) 높이가 15∼20cm나 되는 탓에 급경사로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기자는 횡단보도를 찾았다. 빨리 건너려 했지만 예상보다 빨리 트럭이 코앞까지 왔다. 자동차 경적소리가 들렸지만 노인체험 장비(귀마개)를 하고 있다보니 거리감이 느껴졌다. 전 이사장은 “노인에게는 ‘노인의 속도’가 있는데, 그 속도는 도시의 흐름을 이겨내지 못한다”며 “그러니 사고가 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보행 사망자(1675명) 중 노인 사망자는 906명(54.1%)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신호시간은 ‘1초당 1m’가 원칙이다. 노인,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많거나 보행밀도가 높은 지역은 ‘1초당 0.8m’로 신호등을 세팅한다. 하지만 노인에게는 이 시간도 너무 짧다. 신호등 앞 노인들을 보니 파란불로 바뀌기 전부터 인도에서 차도로 내려와 있는 노인이 많았다.
○ 노인에 맞는 ‘각도’와 ‘높이’ ‘시간’ 재조정해야
종로 일대 공중화장실 중 일부는 좌변식에, 다리 힘이 약한 노인들이 잡고 일어날 안전바도 없었다. 거리에서 만난 노인들은 “우리나라는 사람이고 시설이고 노인을 위한 배려가 없다”고 입을 모았다. 김모 씨(80)는 “‘나이 들면 집에 있지, 왜 나와서 사고 치냐’며 노인을 탓하는 분위기”라고 하소연했다.
2025년이면 노인인구가 전체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지만 국가 차원에서 노인 친화 인프라 대책은 전무하다. 고령화를 먼저 경험한 선진국은 △인도와 이면도로·횡단보도 턱 없애기 △노인, 휠체어 등을 위한 보행 안전 유효 폭 확대 △노인용 유도블록 설치 △차량 속도 저감을 위한 이면도로 바닥 재질과 색 바꾸기 등을 실행하고 있다. 전 이사장은 “노인 부상은 개인의 ‘소홀’이 아닌 사회의 ‘소홀’”이라며 “노인에게 적합한 생활공간 속 ‘각도’와 ‘높이’ ‘시간’ 등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