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강남 아파트값 4년만에 2배로… 무주택자 “내집 마련 꿈 접을 판”

입력 | 2018-09-04 03:00:00

[쉼 없이 뛰는 서울 집값]<上> 노무현 정부때 뛰어넘은 최장기간 상승… 부동산시장 혐오론까지




《최근 서울 노원구 월계동 미륭·미성·삼호3차 아파트의 한 집주인은 전용면적 33m²(옛 13평형)를 3억2000만 원에 팔려다가 계약을 파기했다. 계약을 하고 2주일 만에 호가가 1억2000만 원 오르면서 계약금의 배인 6400만 원을 물어주더라도 계약을 깨는 게 더 유리하다고 본 것이다. 이곳은 이른바 ‘노도강(노원 도봉 강북)’으로 불리며 집값 상승에서 소외된 대표적인 지역이었지만 서울 집값 장기 급등의 여파는 이곳까지 미치고 있다.》


10년 넘게 해당 지역에서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는 한 중개업소 대표는 “그동안 집값이 이렇게 급격히 뛴 적은 없었다”며 “지역 재건축, 광운대 역세권 개발 등 호재를 감안하더라도 단기간 내에 매매가가 1억 원 이상 오른 것은 과열 측면이 있다”고 했다.

○ ‘역대 최장기’ 오르는 서울 집값

서울 집값의 이상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까지 서울 주택가격이 49개월(4년 1개월) 연속 오르면서 역대 최장 상승기에 접어들었다고 3일 밝혔다. 기존 최장 상승기(44개월·2005년 2월∼2008년 9월)보다 이미 다섯 달 늘어난 것이다. 국토부 당국자는 “집값 상승의 ‘강도’는 2005년 상승보다 덜하지만 상승 기간은 이미 당시를 넘어섰다”고 전했다.

최장기 상승장세가 이어지면서 곳곳에서 10억 원 가까이 시세차익을 보이는 아파트가 등장하고 있다. 집값이 장기 상승기에 들어서기 시작한 2014년 8월에 9억7000만 원으로 거래되던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전용면적 84m²·실거래가 기준)는 올해 7월 17억9500만 원에 팔렸다. 4년 보유 후에 팔았다면 8억2500만 원(세금 제외)의 차익을 본 것이다.

서초구 반포자이 84m²는 실거래가 기준으로 2014년 8월 13억5000만 원에서 최근 22억5000만 원(66.7%)으로 올랐다. 송파구 잠실리센츠(84m²) 역시 9억7000만 원짜리가 4년 만에 69.1% 오른 16억4000만 원이 됐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서울 강남권에서 대형 아파트는 최근 4년 동안 10억 원 이상 오른 곳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서울 집값 급등 현상은 소득 상승세와 비교할 때 과도한 측면이 있다. 보건복지부는 매년 연도별 4인 가구 월 중위소득을 발표한다. 복지 혜택의 기준으로 삼기 위해서다. 올해 4인 가구 중위소득은 452만 원으로 서울 평균 아파트값(6억9159만 원)을 마련하기 위해선 12년 8개월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 2015년만 해도 10년 4개월이었지만 3년 새 2년 4개월이 늘어난 것이다.

서울과 지방의 주택가격 격차도 벌어지고 있다. 2014년 8월 서울의 아파트 평균가격은 지방보다 2.9배 높았지만 지난달에는 그 격차가 3.5배까지 벌어졌다. 김흥진 국토부 주택정책국장은 “전월세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방이 소외된 채 서울 주택매매 가격만 유독 오르는 상황”이라며 “당국 입장에서는 ‘집값 거품’을 우려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 로또복권 1등도 ‘압구정현대’ 한 채 못 산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20, 30대 무주택 젊은 직장인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 혐오론’마저 퍼지고 있다. 지난해까지는 ‘평생 모아도 집을 살 수 없겠다’는 체념에 가까운 정서였다면 최근엔 ‘저주’에 가까운 반응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집값은 반드시 잡겠다”고 했던 정부에 대한 기대가 더 큰 실망으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서울의 정보기술(IT) 기업에 근무하는 무주택자 윤모 씨(36)는 “어차피 그들만의 리그인데 서울 집값이 100억 원까지 올라 버렸으면 좋겠다”며 “이제 더 이상 집을 살 생각이 없다”고 했다. 출판업종에서 일하는 박모 씨(36)는 “외환위기라도 다시 터져 자산 재조정이 이뤄져야 젊은 사람들이 아이를 낳고 삶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는 “이제 로또 1등을 해도 서울 강남의 고급 아파트는 살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로 연도별 ‘로또 1등’의 평균 당첨금과 압구정 현대아파트(전용 131m²)의 실거래 가격을 비교해 보니 2013년만 해도 로또 1등에 당첨되면 ‘압구정현대 1.9채’를 살 수 있었지만 지난해부터는 한 채도 살 수 없게 됐다. 올해 로또 1등 당첨금 평균액은 25억3816만 원이지만 이 아파트의 올해 3월 실거래가는 27억9000만 원이었기 때문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위원은 “최근 서울 집값 상승은 정부 규제에 따라 서울 물량이 줄어들 것이란 불안감과 지방 수요 등이 맞물려 비정상적으로 오른 것”이라며 “소득 상승 등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결국 거품론에 휩싸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재명 jmpark@donga.com·강성휘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