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 성사시 남북 협력 사업 뒷받침 기대
보수 진영 설득 ‘과제’…국회도 후속조치 착수
11년만에 평양에서 열린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이른 시일 내에 남북 국회회담을 열기로 합의하면서 실제 회담의 성사 가능성에 정치권의 관심이 모인다.
특별 수행원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했던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정동영 민주평화당,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지난 19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을 만나 남북 국회회담 개최 등을 제안했다.
이해찬 대표는 21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의) 최고인민회와 국회가 연내에 국회회담을 하자고 했다”며 “김 상임위원장도 검토하고 상의해서 답변하겠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북한에는 우리나라의 국회 격으로 ‘최고인민회의’가 있다. 김 상임위원장은 국회의장 급이지만 북한은 사실상 당이 지배하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로, ‘최고인민회의’는 국회와 그 역할면에서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남북 국회회담이 성사되면 입법 등 다양한 방면에서 남북 협력 사업을 뒷받침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이정미 대표는 라디오에서 “판문점선언을 두 입법부가 함께 결의하고 이것을 더 발전시켜나가기 위해서 우리들의 역할은 또 어떤 것인가. 이런 것을 논의한다면 정말 되돌릴 수 없는 평화의 시대로 가는 데 큰 디딤돌을 놓는 그런 회담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국회도 후속조치 마련에 나서고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의장실은 내부적으로 이와 관련한 태스크포스(TF) 팀을 꾸리고 북한과 실무논의를 하기 위한 특사파견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치권에서는 범진보와 범보수 진영이 이번 평양공동선언에 대해 뚜렷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는 만큼, 정부와 범진보 진영의 의지로 회담이 이뤄진다해도 범보수 진영이 불참하는 ‘반쪽짜리’ 회담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지난 21일 ‘평양공동선언’에 대해 “백령도 등 서북도서의 전략적 가치는 고사하고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말한마디 사과조차 받지 못한 채 스스로 완전히 무장해제를 하고 말았다”며 비판했다.
이 때문에 문 의장과 범진보 진영이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을 어떻게 설득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남북은 지난 1985년 4월 처음으로 국회회담을 논의하고 같은 해 7월 첫 예비접촉을 갖는 등 의지를 보였으나 의제를 둘러싼 이견 등을 이유로 불발된 바 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