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현장]경쟁력 추락하는 중국 조선업
올해 들어 중국 조선업체의 선박 수주량이 가파르게 줄면서 ‘위기설’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중국 장쑤성에 있는 현지 대형 조선소의 모습
중국은 벌크선과 중소형 컨테이너선 등 저부가가치 선박을 싹쓸이하다시피 하며 2008년 연간 선박 수주량에서 한국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이후 2011년도를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세계 1위 자리를 유지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올해 8월까지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781만 CGT(표준화물 환산 톤수)로 이 가운데 한국은 756만 CGT(43%)를 수주해 570만 CGT(32%) 수주에 그친 중국을 제쳤다. 조선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중국이 독주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장기 고용이 어려운 중국 기업 환경도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박 연구위원은 “중국은 두 번 고용을 하거나 연속 10년 이상 고용하면 종신 고용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조선사들은 장기 근속을 안 시키려 해 근로자 숙련도가 떨어지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했다.
조선 전문가들은 중국에 드리워진 위기가 최근 몇 년간 한계 상황에 내몰렸던 한국 조선업계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무현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중국 조선업은 사실상 몰락하고 있을 정도로 상황이 어렵다. 중국이 만든 액화천연가스(LNG)선이 엔진 결함으로 운항을 멈추고, 기본 설계 능력이 부족해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며 “지금이 한국 조선업계가 치고 나갈 기회”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 송하동 선박생산운영담당 수석부장은 “글로벌 조선업계 불황에 해양플랜트 등 설비 과잉 투자 문제가 겹쳐 한국 조선업계가 어려운 것이지, 기술력에선 중국보다 몇 년 앞선다”며 “유가가 오르면 해양플랜트 수요도 늘어날 수 있는데 그땐 한국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더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