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상민 케이웨더 공기지능센터장
체계적으로 축적된 날씨 기록들은 잘못된 속설이나 오류를 바로잡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날씨를 예측하는 손쉬운 방법으로 이용되었다. 이는 날씨 변화에 모종의 패턴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인데, 과거 날씨 기록들에서 주기(週期)라도 발견된다면 예측에 큰 설명력을 얻게 된다. 독일의 기후학자 브뤼크너는 카스피해, 흑해 등의 수위와 강수량 기록을 분석하여 기후의 35년 주기설을 1890년에 발표했다. 사람들은 브뤼크너 주기가 11년 주기의 태양 흑점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했지만 그 원인을 밝히지는 못했다.
과거 기록에 의존하지 않고 과학적 추론에 의해 주기를 찾아낸 사람은 세르비아의 밀루틴 밀란코비치이다. 그는 지구 공전 궤도의 변화, 자전축 기울기의 변화, 지구가 자전할 때 팽이처럼 요동치는 세차운동 등이 기후 변화의 주기를 결정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는 ‘밀란코비치 주기’로 불리는데 그의 주장은 생전에 빛을 보지 못했다. 그의 주기는 수만 년을 단위로 나타나는 것이기에 이를 입증하려면 그에 해당하는 날씨기록이 있어야 하는데 애당초 그런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
비록 문자로 기록되지는 않지만 빙하, 암석, 산호와 바다 퇴적물, 나무의 나이테 등은 오늘도 묵묵히 자신의 몸에 날씨를 기록하면서 진실을 축적해가고 있다. 갑자기 쌀쌀해진 날씨에 지난여름의 폭염은 우리 기억 속에서 사라져가고 있지만 2018년 여름은 지구온난화의 분명한 표징을 드러낸 해였음이 지구 아카이브에 또렷이 기록되어 있을 것이다.
차상민 케이웨더 공기지능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