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는 항공우주공학과 권세진 교수 연구팀과 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공동으로 개발한 소형 과학로켓 ‘우리새-2호’를 새만금 간척지에서 시험발사한다고 26일 밝혔다.
시험 발사는 28일 새만금 간척지(북위 35도 42분 06초, 동경 126도 33분 36초에서 반경 0.6NM)에서 오전 10시부터 12시 사이에 진행된다.
이에 앞서 권 교수팀은 지난해 공역 사용 승인을 얻지 못해 우리새-22호의 발사를 진행하지 못했었다.
소형 과학로켓 우리새-2호는 길이 2.2m, 직경 0.2m, 무게 20㎏으로 고농도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로켓을 추진기관으로 사용한다.
발사 시 엔진이 10초간 작동한 뒤 20여 초 동안은 관성 비행을 통해 최대 고도 3㎞까지 도달하고 이후 낙하산을 이용해 지상에 안착, 회수토록 설계됐다.
이번 비행을 위해 연구팀은 과학로켓의 하이브리드 엔진, 비행컴퓨터, 낙하산 사출장치 등 핵심 부품과 비행중인 로켓과 교신하는 지상국을 자체 개발했다. 로켓의 비행 데이터는 모두 지상 통제국으로 전송되는 동시에 로켓 내부의 비행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다.
비행중 이상이 발생하면 조기에 엔진을 차단하고 낙하산을 사출토록 설계됐다.
우리새-2호의 엔진에는 ㈜스페이스솔루션에서 개발한 고성능 추진체 밸브가 장착돼 로켓이 작동하는 동안 전력 공급 없이 연소실로 추진제 공급이 가능하다. 경량화를 위해 추진제 탱크는 ㈜이노컴의 국산 탄소섬유 탱크를 채택했으며 원격 통신기를 포함하는 비행컴퓨터와 지상 통제기는 ㈜나라스페이스에 주문 제작했다.
【대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