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거래소
29일 코스피 지수 2000선이 붕괴됐다. 증시가 급락세를 보이자 금융위원회는 5000억 원 이상의 증시 안정화 기금을 마련해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가 주식시장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홍익대학교 경제학과 전성인 교수는이날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 인터뷰에서 금융위원회의 발표에 대해 “아직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에는 좀 이른 것 같지만 제 느낌에는 이게 만약에 과거에 있었던 증안기금, 소위 증권시장 안정기금과 같이 주가를 직접 떠받들기 위한 것이라면 효과도 없을 것이고, 바람직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 교수는 “효과 관련해서 소위 거친 표현이지만 약발을 받는다면, 오늘(29일) 주식시장은 김용범 부위원장의 회의 소집만으로도 평온했어야 한다”며 “그런데 보란 듯이 2000선이 무너졌기 때문에 이건 뭐 부질없는, 효과와 관련해서는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는 것과 관련해선 “우선 초단기적인 요인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에 따른 중국 경제의 둔화, 그 영향권 내에 있는 우리 기업의 수익성 저하”라며 “중장기적인 요인으로는 우리 경제의 저성장, 활력 감퇴 이런 것들이 중요하지 않나 이렇게 생각이 된다”고 말했다.
현 경제 상황에 대해선 “저는 안 좋다. 그것도 아주 안 좋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각을 한다. 다만 이제 정치적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급하게 사족을 붙이자면 이렇게 경제가 안 좋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오래 전에 시작된 고령화 때문”이라며 “그밖에 지난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했던 규제완화 및 투기장려 일변도의 정책도 여기에 가세를 했고, 또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도 전체를 보지 못하고 좀 미온적이고 부분적인 경제정책, 전체적인 아귀가 맞지 않는 그런 것도 일조를 했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이 실패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선 “보통 많이들 최저임금 인상이 너무 급속했다, 소득주도성장은 곧 최저임금 성장, 이렇게 도식화해서 이야기를 하는데 정당한 평가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상황을 그렇게 좁은 곳으로 몰고 간 데에는 기본적으로 문재인 정부의 탓도 있다. 보다 더 근본적으로 광의의 경제민주화 정책을 좀 더 속도감 있게 밀어붙였어야 되는데, 그것을 못했다는 생각이 좀 든다”고 말했다.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선 “저 개인적으로는 금리 안정이 훨씬 더 좋은 정책조합”이라며 “투자자금 유출과 관련해서 투자자의 의사결정은 금리에만 의존하지는 않는다. 환율의 변동성이라든지 국가 간 위험, 소위 ‘컨트리 리스크’라고 하는 여러 가지에 의존을 하기 때문에 단순히 금리를 조금 늘이고 줄인다고 그것이 역전될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