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통해 재정위험성 경고
기획재정부는 1일 ‘재정 동향과 정책방향’ 보고서를 통해 올해 전체 예산 428조8000억 원 중 복지비용처럼 고정적으로 나가는 예산(의무지출)은 217조 원으로 전체의 50.6%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의무지출은 기초생활지원금이나 국민연금, 아동수당 등 법에 명시된 복지 예산과 지방교부세 등을 뜻한다. 반면 재량지출은 청년구직활동지원금 등 정부가 경제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쓸 수 있는 돈으로 올해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9.4%로 지난해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보고서에서 정부는 2012년 53.1%이던 재량지출이 올해 50% 아래로 떨어진 데 이어 내년엔 48.6%로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초수급 대상자의 범위가 확대되는 등 복지 분야 의무지출이 늘어나고 고령화로 노령연금을 받는 사람이 증가한 게 이유다. 2022년에는 의무지출이 51.6%, 재량지출이 48.4%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복지를 늘리는 것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지만 일하지 않고 복지 혜택만 누리려는 사람이 늘어날 정도로 과도한 복지나 부처의 ‘밥그릇 챙기기’식 퍼주기는 경계해야 한다고 본다. 기재부 관계자는 “한국도 미국처럼 의무지출 비중이 점점 커지는 상황”이라며 “복지비용은 법으로 정해져 있어 한 번 만들면 되돌리기 어려운 만큼 신중히 설계하지 않으면 재정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보고서를 통해 밝히려 했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한국의 채무 위험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라면서도 공기업 부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관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소비와 투자가 줄면서 전체 성장에서 재정이 기여하는 비중이 늘어나는 상황”이라며 “복지 확대로 정부 지출이 과도하게 늘면 국가 부채가 증가해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