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집행위서 세부계획 확정… 黨政 우려 전달에도 귀막아
각종 경제지표가 악화되는 상황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당초 예고한 대로 21일 총파업에 나선다.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공무원과 교사의 파업권 보장 등을 쟁취하겠다는 게 총파업 이유다.
민노총은 1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11월 총파업 세부 계획을 확정했다고 2일 밝혔다. 민노총은 10일 서울에서 약 6만 명이 참가하는 전국노동자대회를 열고, 14∼20일엔 청와대 앞에서 지도부 농성에 들어간다. 이어 21일 지역별로 총파업 대회를 연다. 이를 통해 문재인 정부의 노동공약 이행을 압박하겠다는 것이다.
민노총이 총파업 이유 중 하나로 내세운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은 문 대통령의 대표적인 노동공약이다. ILO 핵심협약을 비준하면 해직된 공무원과 교사의 노조 가입이 가능하다. 해직 교사를 조합원으로 가입시킨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현재 ‘법외노조’ 상태다. 또 보험설계사나 골프장 캐디, 택배기사 등 이른바 ‘특수고용직’(근로자 성격이 강한 개인사업자)의 노조 설립을 허용해야 한다. 이 내용도 국내법과 충돌한다. 재계는 “노조의 힘이 더 강해져 산업 경쟁력을 해칠 수 있다”며 핵심협약 비준에 반대하고 있다.
박은서 기자 clu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