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소 출력 감축 등 요청
충남도가 최근 미세먼지 나쁨 상태가 연일 계속되자 비상 대책에 나섰다.
도는 6일 오전 8시를 기해 천안, 아산, 당진에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발령한 뒤 7일에도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5월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처음으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제도를 도입한 이후 처음 발령했다.
이 조치는 다음 날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m³당 75μg 초과)이 예상되거나 미세먼지 주의보 및 경보가 발령될 때 내려진다. 5일 오후 10시 충남 북부권역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m³당 79μg으로 상승해 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려졌다.
도는 미세먼지 주요 발생요인인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압박도 강화하고 있다. 5, 6일 도내 석탄화력발전소 인근에서 ‘도민 참여 대기질 측정’을 처음으로 실시했다. 보령과 당진, 태안, 서천 등 화력발전소가 위치한 8개 면 118개 마을 150명이 참여해 미세먼지(PM10),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오존(O₃) 등을 채취했다. 도 관계자는 “주민들이 직접 시료 채취 위치를 선정하고, 채취 작업도 진행했다”며 “이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대책 수립에 적극 참여하고 문제점도 도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도는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를 통해 지난해부터 매일 화력발전 소재 4개 면 61개 마을에 생활권 대기질 정보를 제공했다. 올해는 118개 마을로 정보 제공 범위를 넓혔다.
한편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3∼6월 전국 노후 석탄발전소 5기(충남 2기, 경남 2기, 강원 1기)를 가동 중단한 뒤 대기 질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충남지역에서 초미세먼지(PM2.5) 농도 개선 효과가 가장 컸다고 6일 발표했다.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