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나도 도시어부다” 800만명이 바다로 호수로… 지금은 ‘낚시여가’ 시대

입력 | 2018-11-10 03:00:00


주5일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도시를 벗어나 바다와 호수 등에서 낚싯대를 드리우고 시름을 날리는 ‘도시어부’들이 늘고 있다. 지난달 25일 충남 오천항 앞바다에서 낚시인들이 선상 낚시를 즐기고 있다. 김태우 프로낚시 제공

가족들을 뒤로하고 홀로 집을 나와 물고기와 씨름하는 ‘아재 낚시’는 이제 옛말이다. 생활낚시 인구가 800만 명에 이른다. 남녀노소 누구나 따로 또 같이 낚시를 즐기는 ‘낚시여가’ 시대가 열렸다. 낚시를 소재로 한 TV 프로그램도 인기다. 은둔의 취미로 여겨지던 낚시는 주5일 근무제와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 ‘힐링’ 추구 분위기 확산으로 대중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 남녀노소 모두 낚아 낚아∼

거제도, 군산, 태안…. 직장인 이보라 씨(34)는 주말마다 낚시 도구를 메고 전국을 누빈다. 탁 트인 바다에서 물고기와 한바탕 씨름을 벌이고 나면 주중에 쌓인 스트레스가 싹 날아간다.

그가 낚시를 시작한 건 미디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영향이 컸다. 연예인들이 고기 낚는 모습을 보고 호기심을 느끼던 중에 SNS에 조행기(釣行記)를 올리는 또래 여성과 인연이 닿았다. 그는 “여러 동작을 번갈아 하는 루어낚시를 하는데 운동량이 꽤 된다. 배 위에서 해산물을 먹는 재미도 쏠쏠하다”며 “1박 2일 기준 30만 원 선의 비용이 아깝지 않다”고 했다.

최근 낚시인구 증가세가 가파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전국 생활낚시 인구는 700만∼800만 명으로 최근 2, 3년 사이 껑충 뛰었다. 낚시어선 이용객 수는 1년 만에 15% 이상 증가했다.

수도 늘었지만 내용도 많이 변했다. 낚시업계에 따르면 20, 30대 젊은 세대와 여성, 그리고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단위 나들이객이 눈에 띄게 늘었다. 새로운 취미를 찾아 나선 젊은 세대가 낚시로 유입됐다고 분석한다. 낚시게임과 실내 낚시카페가 인기를 끄는 등 저변이 확대됐다.

김태우 프로낚시(49)는 “과거에는 낚시꾼 하면 대부분 중년 남성 일색이었지만 요즘은 바다, 민물낚시 모두 여성 비율이 10% 이상”이라고 했다. 경기 용인 지곡낚시터의 진광두 대표(56)는 “인근 초등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체험수업을 진행하는데 올해 신청자가 많아 반을 2개로 늘렸다. 초등학생 사이에서도 낚시가 화제”라고 전했다. 프로낚시란 낚시업계에 종사하며 방송과 강습 등을 진행하는 이들을 뜻한다.

김 프로낚시는 “낚시는 혼자 해도 좋고 가족이 함께해도 좋은 취미다. 게다가 자연 속에서 힐링을 맛보기에도 제격”이라며 “현대인들이 원하는 것들이 낚시 속에 다 있다”고 했다.

미디어의 영향도 크다. 8년간 홀로 낚시터를 누비던 박광선 씨(55)는 지난해부터 아내와 함께 ‘손맛’을 즐긴다. 낚시라면 눈부터 흘기던 아내가 채널A ‘도시어부’를 본 이후 태도를 바꾸었다. 박 씨는 “아내와 낚시를 함께하면서 대화도 늘었다”고 말했다.

SNS의 대중화도 한 요인이다. SNS에 #낚시 #낚시스타그램 #낚시캠핑을 검색하면 관련 게시물이 주르륵 뜬다. 낚은 물고기 인증샷과 조행 사진도 넘쳐난다. 7년째 낚시를 즐기는 직장인 지홍은 씨(36)는 “SNS에 낚시 활동 관련 사진과 글을 자주 올리는데, 이를 보고 초보자들이 자주 문의해온다. 이들과 주로 낚시를 다닌다”고 했다.

특히 #낚시하는여자 관련 게시물은 34만7000여 개에 이른다. 선상 낚시를 즐기는 한 40대 직장인은 최근 여성 낚시인구가 급증한 데 대해 “낚시는 여성도 잘할 수 있는 취미활동이다. 선상 낚시는 30대 전후 미혼자가 많은 편”이라고 했다.



○ 여행과 결합하는 낚시 풍속도 변화

젊은층과 여성들 참가가 늘면서 ‘낚시 여가시대’는 더욱 활짝 열리고 있다. 4일 경남 거제도 해안에서 지홍은 씨(왼쪽 사진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SNS에서 만난 낚시 친구들 과 함께 낚은 참돔을 들고 기념 촬영을 했다. 지난달 11일 충남 오천항 루디호 이춘기 선장이 주꾸미 볶음요리를 만들고 있다. 지홍은 씨·김태우 프로낚시 제공

낚시 인구가 늘고 다변화하면서 문화도 변하고 있다. 낚시와 여행의 결합이 대표적이다.

진광선 프로낚시에 따르면 최근 낚시와 캠핑을 겸하는 나들이객이 늘고 있다. 캠핑족은 낚시활동을 하면서 지루함을 덜고, 낚시족은 캠핑을 겸하며 가족과 시간을 갖는다. 캠핑지를 제공하는 캠핑낚시터도 늘어나는 추세다. 경기도에는 종합 낚시레저시설도 들어설 예정이다.

고객이 늘어나면서 서비스 경쟁도 치열해졌다. 낚시용품 업체들은 초보자용 장비를 앞다투어 내놓고 있다. 유료 낚시터는 여성 화장실과 휴게실을 새로 만드는 등 공간 새 단장에 바쁘다. 낚싯배 위에서는 먹거리 전쟁이 벌어진다. 지홍은 씨는 “예전엔 라면주꾸미가 거의 유일한 메뉴였는데 요즘은 주꾸미찜, 철판볶음, 주꾸미삼겹살볶음, 주꾸미전 등으로 다양해졌다”고 귀띔했다.

도심에선 실내낚시카페가 성업 중이다. 커다란 수조에 물고기를 가득 넣어두고 여럿이 빙 둘러서 낚시를 하는 식이다. 시간당 요금을 내고 잡은 물고기는 무게를 잰 다음 일부는 놓아주는데 무게에 따라 상품을 주기도 한다. 연인과 초등학생, 유아를 동반한 가족 방문객이 많은 편이다.

낚시 입문자가 늘면서 문화 충돌을 빚기도 한다. 10년째 플라잉낚시를 즐겨온 김석환 씨(60)는 “큰 목소리로 초보자가 떠들어서 붕어가 달아나면 고수가 낚시터 예절을 훈계하기도 한다”고 했다. 지곡낚시터에서 만난 50대 남성은 “대낚시를 하는데 옆에서 루어를 던지는 초보자들 때문에 화난 적도 있지만 이젠 여유가 생겼다. 누구나 초보 시절이 있었지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최근엔 이런 갈등을 줄이기 위해 전문장과 체험장을 나눠 운영하는 유료 낚시터도 생겨나고 있다.

낚시인구가 늘면서 충청도 강원도 등 지자체 차원의 지원도 대폭 늘었다. 시에서 주관하는 낚시대회가 늘었고, 태안 통영 거제도 사천 울진 완도 등에는 해양낚시공원이 들어섰다. 해양수산부는 낚시 관련법을 정비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진광두 대표는 “낚시 관련법 자체가 미비하고 시도별 규정이 달라 낚시터 관리가 뒤죽박죽”이라며 “급증하는 낚시 인구를 원활하게 수용하려면 낚시문화 정착에 대한 토론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낚시를 시작하려 해도 어디서 장비를 대여하고 낚시 법은 어떻게 배워야 할지 막막해하는 초보자가 많다”며 “낚시 예절을 포함한 교육, 장비 대여, 위생 등의 측면에서 체계적인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도권 인근 유료낚시터 가면 장비 빌려주고 원포인트 레슨도▼

낚시 어떻게 시작할까
11~12월 바다낚시 최적지는 거제도 진도 추자도 제주도 통영
가족 동반땐 연안 선상낚시가 안전… 미끼는 지렁이 대신 루어낚시 대세

“모든 종류의 낚시를 섭렵할 순 없다.” 낚시업계의 정설이다. 아무리 뛰어난 전문가라도 방법, 어종, 공간별로 다른 낚시 법을 모두 익히긴 힘들다는 얘기다. 낚시는 크게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로 나뉜다. 바다낚시는 배 위나 갯벌 등에서, 민물낚시는 저수지를 낀 관리형 유료 낚시터에서 할 수 있다.

접근성 면에서는 민물낚시가 편리하다. 서울에서 1, 2시간 떨어진 수도권 인근에 유료 낚시터가 많아 주말에 가족과 연인들이 자주 찾는다. 장비 대여는 물론이고 첫 고기를 낚을 때까지 지도도 받을 수 있다. 3∼11월엔 붕어 배스 쏘가리 등 거의 모든 민물고기 낚시가 가능하다. 11∼3월엔 송어, 겨울철 얼음이 어는 시기엔 빙어 낚시를 할 수 있다. 입장료는 2만∼3만 원 선.

경기 용인의 ‘지곡낚시터’에서 중년 남성들이 낚시에 몰두해 있다. 용인=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바다낚시는 먹거리를 낚을 수 있어 초보자들에게 인기다. 하지만 남해 서해 동해에 포인트가 몰려 있어 이동거리가 다소 길다. 보통 수도권에서 오전 2시 전후에 출발해 오전 5시부터 늦은 오후까지 선상에서 낚시하는 일정이다. 1년 내내 수온에 따라 남해 서해 동해 등에서 광어 우럭 참돔 삼치 도다리 농어 주꾸미 오징어 등을 잡는다. 제주도 남해는 11∼2월, 기타 지역은 3∼11월이 시즌이다.

바다낚시는 계절별로 어종이 달라 시기마다 다른 ‘입맛’을 즐길 수 있다. 낚싯배를 운영하는 선장마다 ‘비밀 포인트’가 있어 배를 잘 골라야 한다. 낚시 고수로 유명한 하응백 문학평론가는 “낚시는 70%가 날씨, 20%가 선장, 10%가 낚시꾼 덕이다. 훌륭한 낚시꾼의 자질은 기획력이다. 낚시하기 좋은 날 어종에 맞는 선장의 배를 고르는 안목이 중요하다”고 했다.

오랜 시간 배에서 머물러야 하기 때문에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은 연안 선상낚시를 하는 게 좋다. 제주도, 경남 통영 등에선 육지에서 10∼30분 떨어진 연안에서 2, 3시간 동안 낚시하는 프로그램을 다수 진행한다. 낚싯배 요금은 대상 어종에 따라 5만∼20만 원으로 다양하다.

낚시 방법은 생미끼를 이용한 대낚시, 가짜 미끼를 활용한 루어낚시, 날벌레로 가짜 미끼를 만들어 쓰는 플라이낚시, 보트를 타고 고기를 낚는 트롤링 등으로 다양하다. 2, 3년 전부터 지렁이 등 생미끼 대신에 가짜 미끼를 쓰는 루어낚시가 대세가 됐다. 이동하면서 진행하는 루어 낚시와 플라이 낚시는 젊은층이 특히 선호한다고 한다.

입문자가 늘면서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업체가 늘고 있다. 낚시 기술은 유료 낚시터나 지인에게 배우는 경우가 대부분. 최근엔 유튜브 동영상으로 장비를 구입하고 낚시 법을 익히는 게 일반적이다. 낚시 장비는 세트당 20만∼30만 원 정도다.

1, 2년 전까지 8 대 2 정도였던 바다낚시와 민물낚시 인구 비중은 최근 4 대 6 정도로 바뀌었다. 주말을 이용해 1박 2일 일정으로 선상낚시를 가는 이들이 늘어나서다. 예능 프로그램 ‘도시어부’ 제작진이 추천한 11, 12월 바다낚시 장소는 거제도, 진도, 통영, 추자도, 완도, 제주도 등. 참돔 방어 부시리 감성돔 벵에돔 갈치 등을 잡을 수 있다. 12월 얼음이 얼면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등에서 열리는 빙어와 산천어 축제도 가볼 만하다.
 
이설 기자 sno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