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P2P업체 대출실태 조사

○ 피해자 수만 명 1000억 원 넘게 날려
금융감독원은 19일 이 같은 내용의 ‘P2P 대출 실태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금감원은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P2P 업체 178곳의 대출 실태를 전수 조사했다. 점검 결과 178곳 중 20곳(11.2%)에서 사기, 횡령 등의 혐의가 포착돼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거나 경찰에 수사 정보를 제공했다.
특히 업계 상위의 유명 P2P 업체들까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투자 경고음’이 높아지고 있다. 업계 2위인 피플펀드는 대표적인 구조화 상품이 하나의 기초자산으로 여러 건의 담보를 설정한 사실이 확인돼 금감원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한때 업계 ‘빅3’에 들었던 루프펀딩도 사기 혐의가 적발돼 대표 등 2명이 구속됐다.
○ 부동산 대출 쏠림 심해
P2P 대출 시장은 중위험, 중수익의 새로운 투자처로 각광받으며 급속도로 성장했다. 9월 말 현재 P2P금융협회 소속 59개 업체의 누적 대출액은 2조6827억 원. 비회원사까지 합치면 P2P 대출 시장 규모는 3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올 들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주로 하는 대형 업체인 헤라펀딩이 부도를 내는 등 ‘부도’ ‘먹튀’ P2P 업체가 속출하고 대출 연체율이 치솟으면서 P2P 투자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졌다. 특히 전체 P2P 대출의 65%가 부동산 PF 관련 상품에 쏠려 있어 앞으로 부동산 경기가 하락하면 피해 사례가 더 확산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성재 금감원 여신금융검사국장은 “업계 1위인 테라펀딩도 부동산 비중이 높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P2P 업체에 대한 현장 점검을 지속적으로 하는 한편 금융위와 함께 관련 법체계 정비에 나서기로 했다. 문종진 명지대 경영학과 교수는 “현재의 대부업법으로 P2P 업체를 관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P2P 업체를 별도로 관리할 새로운 법을 만들고 당국의 감독도 더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