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는 14일 “100년 만에 남과 북이 3·1운동 100주년 행사를 공동으로 개최한다는 것은 100년 전에 우리 선조들처럼 남과 북이 하나 됨을 다시 확인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추진위) 제3차 전체회의 모두발언에서 “선조들이 독립만세를 외치던 1919년에는 남과 북이 따로 있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추진위는 지난 8월 이 총리와 한완상 전 통일·교육부총리 공동위원장 체제로 출범했다. 앞서 위원회는 두 차례의 회의를 통해 내년에 추진할 기념사업을 기획했고, 이날 회의에서는 기념사업 종합계획안 등을 확정했다.
이 총리는 3·1운동과 관련해 두 가지를 제안하겠다며 “첫째는 3·1운동의 역사를 훨씬 더 구체적으로 연구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혔다.
그는 “얼마 전 3·1운동 학술행사에서 1919년 3월1일 오후 5시까지 일제의 헌병과 경찰이 시위대를 진압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독립만세’라는 시위방식을 제안한 사람은 누구인가 같은 질문이 나왔다고 들었다”며 “매우 의미 깊고 흥미로운 질문이 아닐 수 없다. 3·1운동 연구나 기념사업도 이렇게 구체적으로 전개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또 하나는 ‘3·1운동’의 정명(正名), 바른 이름 붙이기에 관한 것”이라며 민(民)이 주도한 독립만세시위의 역사적 상징성을 고려할 때 ‘3·1운동’보다는 ‘3·1혁명’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는 역사학계의 논의를 소개했다.
그는 “일제는 3·1거사를 ‘폭동’, ‘소요’, ‘난동’ 등으로 부르며 불온시 했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 등 민족진영은 ‘3·1혁명’, ‘3·1대혁명’이라고 불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면 3·1거사의 영향을 받아 2개월 뒤 중국에서 벌어진 5·4운동을 중국은 ’5·4운동‘ 또는 ’5·4혁명‘이라고도 부른다“며 ”1894년의 농민봉기도 오랜 기간 ’동학난‘으로 불렸지만 1960년대 이후 ’동학혁명‘으로 바뀌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학계 일각에서는 이미 이에 관한 논의가 나온 바가 있다“며 ”학계에서 좀 더 깊은 논의가 전개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