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독일식 한반도 통일은 2050년 쯤에나” 국회미래연구원 한반도 미래 공론조사에 참여한 청년들
국회미래연구원 제공
고려대 경영학과에 다니는 류경석 씨(23세)는 이달 2일 국회미래연구원이 주최한 ‘한반도의 미래 공론조사’에 참여한 뒤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2030년과 2050년에 남북한이 지향해야 할 미래와 피해야 할 미래를 놓고 현존하는 국가들 사이의 다양한 유형이 제시됐기 때문이다.
“10여 년 동안 학교에서 ‘통일 아니면 분단’ 식의 이분법적 교육을 받다가 그 중간의 다양한 선택지가 있다는 것을 알았고 그런 중간의 국가간 형태들을 세계 각지에서 쉽게 볼 수 있었는데 왜 그걸 남북한 관계에서 적용할 생각을 해보지 못했었을까 하는 후회나 안타까움도 있었어요.”
국회미래연구원 제공
그는 남북한이 2030년에는 우호국가(미국-캐나다), 2050년에는 ‘느슨한 연방’국가(초기 미국)가 되기를 바란다고 응답했다. 2050년에 피해야 하는 미래(회피미래)로는 경쟁국가(중국-대만)을 선택했다. 2050년 회피미래로 경쟁국가(중국-대만)를 고른 이유에 대해서는 “그 때까지도 싸우고 있으면 결국 분단된 지 100년째에도 싸우고 있는 건데 그건 좀 별로이지 않을까요?”라고 반문했다.
남강고 1학년 김희찬 씨는 연방국가(통일 독일)를 선호하고 역시 경쟁국가(중국-대만)를 회피한다고 답했다.
“북한이랑 통일해서 힘들지언정 나쁠 건 없다고 생각하고, 경쟁국가가 된다면 우리나라가 북한을 견제하느라 더 많은 예산이 들고, 그로 인해 더 힘들어질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7일 국회미래연구원이 공개한 공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래세대(고등학생)·청년세대(20대) 중 37.4%가 2030년 ‘미국-캐나다’, 31.7%가 2050년 ‘통일 독일’과 같은 남북관계를 1순위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9%가 2030년, 60.1%가 2050년에 남북관계가 ‘중국-대만’과 같은 경쟁관계로 남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편, 10년 후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한반도의 미래로는 46.3%가 ‘미국-캐나다’와 같은 우호관계를 꼽았고 30년 후 미래로는 27.4%가 ‘독일-오스트리아’와 같은 경제통합 국가를 골랐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209명과 고등학생(미래세대) 31명이 참여한 이번 조사에서는 남북한이 통합되는 여섯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실현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미래(가능미래), 선호하는 미래(선호미래), 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미래(회피미래)를 파악했다.
미래 남북관계의 유형으로는 군사·외교 통합 여부, 거주·이동 자유 여부, 화폐통합 여부, 행정부 통합 여부에 따라서 ①경쟁국가(중국-대만) ②우호국가(미국-캐나다) ③경제통합국가(독일-오스트리아) ④군사·외교 통합국가(중국-홍콩) ⑤‘느슨한 연방’국가(초기 미국) ⑥연방국가(통일 독일) 등이 제시됐다.
7일 국회미래연구원 보도자료에 따르면, 공론조사 결과 국민참여단은 남북한이 2030년에는 우호관계를, 2050년에는 연방국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며, 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쟁관계는 2030년과 2050년 모두 회피해야 할 미래로 나타났다.
2030년 가능미래
2030년 선호미래(희망미래)
2030년 회피미래
2050년 가능미래
2050년 선호미래(희망미래)
2050년 회피미래
30분 동안 중간설문조사 응답을 마친 국민참여단은 서로 간단한 인사를 나누고 주최 측의 자료집 설명을 들은 후 60분 동안 토의했다. 조원은 각자 여섯 가지 시나리오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설명했다. 그리고 한반도의 가능미래, 선호미래, 회피미래를 생각할 때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을 공유했다. 마지막으로 숙의를 위해 더 필요한 정보도 정리했다.
토의과정을 마치고 최종설문조사를 하기 전에 국민참여단과 전문가 사이에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조마다 통일비용 조달방안, 청년세대의 통일 당위성 의문, 대북원조의 투명성, 북한체제의 변화 가능성과 각 시나리오의 연계성 등 토의과정에서 생겼던 질문을 하나씩 던졌다. 전문가 응답에는 최종현 서울대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 문인철 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 장기영 서울대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 박진 국회미래연구원장, 유재광 국회미래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참여했다.
올해 5월 ‘국회미래연구원법’에 따라 개원한 국회미래연구원은 국회의장 직속으로 정당과 행정부에서 독립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예측하고 전략을 설계하는 연구기관이다.
백승헌 우아한 사무국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