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에 경제 신음]봉제 등 영세 제조업체 폐업 도미노
폐업을 앞두고 있는 서울 중랑구의 한 봉제 공장 모습. 이 공장을 운영했던 김모 대표는 “일감이 줄어드는데 인건비가 너무 급격히 올라 더 이상 공장을 운영할 수 없었다”며 “자재를 팔아 자금을 일부라도 건지고 싶은데 마땅한 사람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염희진 기자 salthj@donga.com
가방 모피 의류 등 봉제공장 1만여 곳이 밀집한 서울 중랑구에서 45년간 봉제업에 종사한 김동석 씨(58)는 사무실에서 대출을 알아보기 바빴다. 그가 운영하는 공장은 대기업이 디자인한 의류의 봉제 및 가공을 담당하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다. 직원 23명 가운데 최저임금을 받는 직원은 30, 40년 호흡을 맞춰온 6명에 불과하다. 나머지 직원들은 최저임금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다. 김 씨는 “최저임금을 맞추려면 4대 보험과 퇴직금까지 줘야 하는데 그러면 1인당 260만 원이 넘기 때문에 도저히 불가능하다”며 “대기업은 해외로 나가고 경기침체로 일감은 줄어 빚만 쌓이고 있다”고 토로했다.
○ 설 곳 잃은 ‘메이드인코리아’
중견급 이상 제조업체들이 인건비가 싼 해외로 떠나도 이 소규모 제조업체들은 ‘메이드인코리아’를 지킨다는 자부심이 있었지만 이제는 포기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았다.
제화공장 250여 곳이 몰려 있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도 최근 1년 새 공장들이 문을 닫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이 일대에서 금강 무크 등 유명 브랜드의 OEM 공장과 자체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박동희 씨(61)는 “수제화 공장 대표들은 해외로 떠나거나 사업을 접거나 두 가지 갈림길에 내몰렸다”며 “구두 브랜드마저 생산 공장을 해외로 이전하면서 국내 수제화 생산 기반이 붕괴되기 직전”이라고 한탄했다.
○ 숙련된 인력 줄이고 노후자금 털어 기계 도입
무엇보다 수십 년간 숙련된 제조 인력이 생업에서 쫓겨나고 있다. 경기 파주시에서 40년째 기계가공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김대구 대표는 최근 12명이던 직원을 8명이나 감축했다. 주로 30년 이상 된 숙련 직원들이었다. 직원 수를 유지했다간 2년간 30%가량 높아진 인건비를 내년부터 감당하기 힘들 것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마진이 낮아지며 연구기술과 설비 투자조차 제대로 못하고 있다”며 “기계 1대밖에 없는 소규모 가공사업장들이 살아남을 방법은 폐업밖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북 전주시에서 섬유공장을 운영하는 황주순 씨(56)는 “7, 8년 전 50명 수준이던 인력이 지금은 10명도 안 된다”며 “최저임금의 인상으로 산업 자체가 무너질 수 있는 우리 같은 영세업종은 기준을 차등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염희진 salthj@donga.com·황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