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DB
강제 노동을 당하는 전세계 2500만명을 위한 해결책으로 ‘블록체인’이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의 노동자 등록시스템으로 인권침해를 예방하겠다는 것이다.
호주 인권단체 ‘워크프리 파운데이션’이 발행한 ‘2018년 세계노예지수’에 따르면 강제노동, 인신매매, 부채상환을 위한 자발적 노예, 강제결혼 등에 속하는 ‘현대판 노예’가 약 4000만명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국제 인권운동단체 ‘국제앰네스티’ 연구원인 윌리엄 니는 “국제적인 식품·생활용품 브랜드의 공급망에서 강제노동, 저임금, 독성화학물질 노출 등 심각한 노동 착취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노동자의 고용 계약 기록이 기업에 의해 쉽게 수정되고 분실되는 것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강제노동 문제를 해결하고자 비영리 기관과 일부 대기업이 블록체인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블록체인의 분산원장기술을 통해 노동자의 정보, 노동시간, 고용 계약서를 안전하게 기록하고 노동법 위반 여부와 급여 지급 여부를 확인하겠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반스’, ‘노스페이스’, ‘팀버랜드’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브이에프코퍼레이션’도 동남아 지역의 공장 노동자들의 계약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있다.
‘코카콜라’는 이 시스템을 도입한 대표적인 기업이다. 미국 국무부와 코카콜라는 노동자 보호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노동자를 등록하는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를 위해 설탕 원료를 공급하는 28개 지역의 아동 노동 현황을 조사하고, 강제 노동 문제와 토지소유권 등을 조사했다.
블록체인이 노동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실효성을 의심받고 있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블록체인에 기록된 노동계약은 증거로서 계약을 감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