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69〉초대의 윤리

입력 | 2018-12-26 03:00:00



많은 사람들이 그를 우러러보았다. 그러다 보니 그를 자신의 집에 초대해 잔치를 베풀며 그의 말을 듣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나 실제로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를 따르는 사람들이 많아서 살림살이가 넉넉하지 않은 이들은 감히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를 환대하는 행복은 대부분 넉넉한 사람들의 차지였다.

어느 날이었다. 그는 자신을 초대한 주인에게 식사에 초대하는 대상을 바꿔 보라고 했다. 이런 이유에서였다. 친구나 형제나 부유한 이웃들을 초대하게 되면 그들이 언젠가는 그것에 대한 보답을 하게 된다. 그것은 따지고 보면 초대를 주고받는 행위, 즉 상호적인 경제학일 따름이다. 그런데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주고받는 관계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몸이 성치 않은 사람들, 아픈 사람들, 가난한 사람들을 초대해 보라. 그들은 당신의 초대에 초대로 보답할 여력이 없다. 그러나 당신은 “그들이 보답할 수 없기 때문에 행복할 것이다”. 이것이 그가 말한 환대의 역설이요 윤리였다. 소외된 사람들을 환대하는 데서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말이었다.

현란한 수사법을 동원하지 않았어도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말이었다. 러시아 문호 표도르 도스토옙스키가 4년에 걸친 시베리아 유형 생활 중 그의 말과 행적이 담긴 신약성서를 밑줄을 그어가며 닳고 해어지도록 읽은 것은 그래서였다. ‘백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같은 위대한 소설들은 예수의 말을 사유한 데서 나왔다. 칸트, 레비나스, 데리다를 비롯한 철학자들이 아무리 형이상학적인 언어로 환대를 논했어도, 그들의 철학은 예수의 말이 환기하는 환대 윤리에 대한 일종의 주석에 지나지 않았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2000년이 가까워 오지만 그의 말은 아직도 유효성을 잃지 않았다. 당대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잔치에 초대받지 못하는 사회적 타자들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성탄절은 그 타자들을 위한 삶을 살았던 그의 탄생을 기리는 날이다. 메리 크리스마스.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