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창일 갯마을 탐구]〈18〉해운대는 동해안에? 남해안에?

입력 | 2018-12-28 03:00:00


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아주 쉬운 문제다. 피서객이 가장 많이 몰리는 해수욕장은? 당연히 해운대다. 그렇다면 해운대는 동해인가, 남해인가? 이 물음에 정확한 답을 내놓는 사람을 아직 만나지 못했다. 심지어 해양민속 전문가, 광안리 바닷가에 사는 동생, 부산을 떠나 살아본 적이 없는 지인에게 물어도 마찬가지. 이유가 있다. 국립해양조사원, 기상청 등 정부기관마다 동해와 남해의 분기점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운대 달맞이언덕에 있는 해월정 앞바다를 분기점으로 잡기도 하고, 부산과 울산의 해안 경계 지점 혹은 오륙도를 기준점으로 삼기도 한다. 국제적으로도 제주도를 경계로 동북쪽을 동해, 서북쪽을 황해, 제주도 남쪽 바다를 동중국해로 설정하고, 남해에 대한 개념은 없다.

경계는 모호하지만 우리 바다는 제각각의 뚜렷한 특성이 있다. 동해는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지점으로 대구 청어 오징어 등 계절에 따라 다른 종류의 물고기가 많이 잡힌다. 반면 서해는 수심이 얕아 기온 변화가 심하다. 동해보다 여름 기온은 높고 겨울 기온은 낮다. 각종 새우류 꽃게 민어 등이 많이 난다. 남해는 연중 난류가 흘러 수온 변화가 적고 겨울 수온이 10도 이상을 유지하여 양식업이 발달했다.

이런 특성 이면에 사람들의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요인은 따로 있다. 서해안의 음식점에 걸려 있는 달력에는 물때가 빼곡히 적혀 있다. 반면 동해안에서는 물때가 적힌 달력을 찾기 어렵다. 당연하다. 동해는 조수간만의 차가 0.2∼0.3m 내외로 미미하다. 동해안 어민들은 물때에 무관심할 수밖에 없다. 그 대신 바람에 민감하다. 삼척의 어촌에 머물며 해녀를 조사할 때 일이다. 어촌계장은 동트기 전 바다를 관찰한 후에 해녀 물질 여부를 판단했다. 맑은 날씨에도 물질을 못 할 때가 있고, 흐려도 물질을 나갈 때도 있던데 뭘 보고 판단하느냐고 물었다. 어촌계장의 말은 단호했다. “바람을 봐요. 동풍 남동풍 북동풍이 불면 입술이 촉촉해지는 느낌이 있어요. 그럴 때는 파도가 높아 해녀들이 위험해요. 이런 바람은 습해서 미역을 말리면 색깔이 노랗게 변해 상품성도 떨어집니다.” 바다를 건너오는 바람은 파도를 일렁이게 한다. 동해는 수심이 깊어 바닷바람은 잔잔한 파도를 너울로 만들기도 한다. 바람은 변덕이 심해 육풍이 불다가도 돌연 해풍으로 바뀌어 바다를 뒤집는다. 파도를 깨우기도 하고, 재우기도 하는 것이다. 동해안 어민들은 몸속에 풍향계를 만들어 바람에 적응했다.

서해는 세계적으로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이다. 물때에 따라 바다로 나갔다가 물때에 맞춰 육지로 들어온다. 바다의 시간을 따르며 살아가는 것이다. 그래서 집집마다 물때가 표시된 달력이 걸려 있다. 선원들은 물때에 맞춰 바다로 나가고, 그물을 던진다. 생선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은 물때를 알아야 신선한 물고기를 살 수 있다. 물때에 따라 어선의 입항 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동해와 서해는 자연의 언어가 다르다. 동해안 사람들은 바람의 언어를, 서해안 사람들은 바닷물 들고남의 언어를 완전히 이해하는 사람들이다. 물의 들고남은 복잡하지만 정해진 기다림이고, 바람은 애쓰지 않아도 느낄 수 있으나 예측 불허의 기다림이다.
 
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