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바흐만으로 가득 찬 현의 노래… 담담해서 더 감동

입력 | 2018-12-28 03:00:00

리뷰/ 힐러리 한 바이올린 독주회




21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콘서트를 가진 힐러리 한. 마스트미디어 제공


영화 ‘카핑 베토벤’에서 베토벤은 ‘음악가란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체’라고 말한다. 모차르트를 우상으로 받들었던 베토벤은 선배의 뒤를 이어 인류를 위해 곡을 썼다. 그럼 바흐는? 무려 20명의 자녀를 키워야 했던 ‘음악의 아버지’ 바흐는 당시 교회에서 가장 고된 일을 한 작곡가다. 하지만 어찌 바흐를 교회 안에만 가둘 수 있으랴. 바흐 음악의 이창(裏窓)은 인간이다. 신격(神格)과 인격(人格)의 오묘한 조화, 여기에 바흐 음악의 가치가 살아 숨 쉰다.

오로지 바이올린 하나에 의존해 2시간을 채워야 하는 리사이틀.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를 ‘바이올린의 성경’이라 했던가. 21일 저녁 서울 잠실 롯데콘서트홀은 90%의 경이로운 객석 점유율을 기록했다. 가장 어렵다는 단일 메뉴를 들고 무대로 나온 힐러리 한은 합창석까지 가득한 청중에 갇혀 고독해 보였다.

소나타 2번 ‘그라베’ 도입부, 활이 현에 닿았을 때 드넓은 객석은 그윽한 음률로 뒤덮였다. ‘라르고’는 두 아이의 엄마가 된 그녀의 삶이 반추되는 노래요, 탄식이었다. 느린 악장은 시종일관 자신을 드러내는 화려한 비브라토를 억제하며 ‘다운 비트’(활을 아래로 긋는 것)로 기도하듯 마무리했다. 2개 이상의 현을 동시에 그어야 하는 중음(重音) 주법은 ‘바흐 무반주’의 생명과도 같다.

소나타 3번 ‘푸가’는 압권이었다. 바흐가 좋아했던 찬송 ‘오라 성령이여, 신이여’ 주제가 무려 353마디가 흐르는 동안 힐러리 한은 과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중용(中庸)을 지켰다. 각 성부는 균일하게 자신의 갈 길을 갔다. 원래 인간은 다 평등하지 않았던가. 고음과 저음의 분량은 동일했다. 파르티타 3번의 ‘가보트’는 인간 바흐의 심성과 다름없었다. 이별을 읊은 ‘카프리치오’와 달리, 잊었던 친구를 다시 만나는 행복이 여기에 있었다.

앙코르로 연주한 파르티타 2번 ‘사라방드’. 남미에서 발원한 이 원초적 춤곡은 바흐와 힐러리 한에 의해 가슴을 울리는 음악으로 재탄생했다. 사라방드의 핵심인 두 번째 박 악센트는 끝까지 충실히 지켜졌다. 힐러리 한의 바흐가 대선배 격인 요한나 마르치, 이다 헨델에 미칠 수는 없다. 하지만 최선을 다해 자신의 39년 인생을 응축시켜 보여 주었다. 중국 전국시대 문인 유협이 말한 ‘지음(知音)’이란 이런 게 아니었을까. 객석은 기립박수를 보냈다. 한 해를 접으며 대편성 교향곡이 아닌, ‘음악의 시작과 끝’인 바흐를 택한 이날 청중은 그래서 더욱 위대하다. 우리 클래식 공연계의 가능성을 보았다.

유혁준 음악칼럼니스트·클라라하우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