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요구 어떤 것도 관철되고 실현되지 못해”
“경공모, 경제민주화 매개 한 건전 모임인줄 알아”

드루킹 일당과 공모해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 댓글을 조작한 혐의로 기소된 김경수 경남지사가 2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1심 결심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18.12.28/뉴스1 © News1
‘드루킹’ 김동원씨(49)와 댓글조작을 공모한 혐의로 기소돼 징역 5년을 구형받은 김경수 경남지사(51)가 “드루킹이 내 선의를 악용해 자신의 조직 장악에 활용했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2부(부장판사 성창호) 심리로 28일 진행된 결심 공판에서 최후진술을 통해 “사건 초기 특검 도입을 내가 가장 먼저 요청했다”며 “특검의 어떤 요구에도 최선을 다해 수용하고 협조했다”고 말했다.
그는 김 지사의 승인을 받고 댓글 조작 프로그램을 개발해 사용했다는 드루킹 김씨와 경제적공진화모임(경공모) 회원들의 주장에 대해 “그것이 사실이라면 인사 추천을 포함해 여러 요구가 관철됐어야 하지만 어느 것도 실현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드루킹 김씨는) 이런 내 선의를 악용하고 조직 장악을 위해 활용했다고 생각한다”며 “불법적 방법을 동원해서 문재인 정부까지 비판하는 그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나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이란 타이틀을 가장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살아가는 사람”이라고도 덧붙였다.
그는 “김해을 지역에서 총선에 출마했을 때도 선거법을 어기지 말라는 지시를 자주했는데 이것은 나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노무현 전 대통령에 누를 끼치는 것이라 생각하고 처신에 주의를 기울인 것”이라고 전했다.
김 지사는 “대선 과정에서 불법 댓글 사건으로 온 나라가 시끄러웠고 큰 문제가 된 것을 누구보다 잘 아는 내가 고작 두 세번 만난 사람과 불법을 도모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도저히 상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특검은 2개 공소사실을 구분해서 구형한다면서 김 지사에게 업무방해 혐의는 징역 3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는 징역 2년을 구형했다.
특검은 “민의를 파악하고 국정에 반영해야 할 임무를 가진 의원이 합법을 가장한 사조직을 활용해 민의 왜곡에 관여하고 지원 받으면서 은밀한 요구에 휘둘리는 행위를 한 점이 참으로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