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선
● 당선소감
당선이란 물에 떴으니 항해를 시작해야
시조의 바다를 향해 노를 저어 갈 것
시조의 바다를 향해 노를 저어 갈 것
이제 저 또한 항해를 시작하겠습니다. 새로운 출발선에 서게 해 주신 심사위원 선생님과 동아일보에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항상 용기를 북돋아주신 허형만 은사님과 앞으로 나아가게 해 주신 정윤천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와 함께 한 지송시회, 시빚기반, 죽란시사회, 손오작가회, 국제PEN광주 회원 여러분께도 감사드립니다. 사랑하는 유은학원 제자들과 경진, 준원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물이 끓기 위해서는 99도가 아니라 100도가 되어야 한다는 말을 마음에 품고 글을 썼습니다. 이 1도가 모든 것을 바꾸어 놓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한 발을 더 내디뎠을 때 정상이 보이고 한 번 더 바라보았을 때 안 보이던 것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앞으로도 끓어오르는 1도의 열정을 품고 시조의 바다를 향해 노를 저어 가겠습니다.
△1971년 전남 나주 출생 △전남대 불어불문학과·조선대 국어교육과 졸업 △광주여상고 교사
● 심사평
기성 시인들의 흔적이 보이지 않아 신선
풍요로운 서정성 표현… 시대정신도 담겨
풍요로운 서정성 표현… 시대정신도 담겨
이근배 씨(왼쪽)와 이우걸 씨.
이런 항목들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마음에 두고 작품을 읽어 나갔다. ‘시나브로 꽃잎 날다’ ‘가을, 추사체로 읽다’ ‘시나브로 압구정을 배회하다’ ‘종로…해넘이 시간’ ‘동지팥죽’ ‘마당 깊은 집’ 등을 먼저 가려놓고 반복해서 읽었다. 투고자들의 작품 성향과 장단점을 발견한 뒤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어떤 기성 시인들의 기법이나 시어가 집중돼 있거나, 소재와 시각에 개성이 부족하거나, 음보율이 부드럽게 흐르지 못하거나, 서정성이 지나치게 빈약한 작품을 제외하니 맨 마지막까지 남은 작품은 ‘동지팥죽’과 ‘마당 깊은 집’이었다. ‘동지팥죽’은 우리말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그 수련의 결실이 역력히 눈에 보이는 아름다운 작품이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시대의식의 울림이 지나치게 부족하다고 보았다. 물론 이 지적은 그의 응모작 전편에서 느낀 소감이다.
고심을 거듭하다가 결국 우리 두 심사위원은 ‘마당 깊은 집’을 선택했다. 이 시인의 응모작 전편에서 우리가 특징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다소 연소한 듯하면서도 기성 시인의 흔적이 별로 보이지 않는 점과 묘사 능력의 우수함, 그리고 시대의식이 작품 배면에 깔려 있다는 점이었다. 풍요로운 서정성을 표현해낼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당선의 영광을 차지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다. 자신의 안목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열어서 마침내 우리 시조시단의 돌올한 개성이 될 때까지 어떤 신고도 이겨낼 수 있는 열정과 분발을 당부하며 기꺼이 축하드린다.
이우걸·이근배 시조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