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
●당선소감
시간에게 미안하지 않게 더 감각하겠습니다
끝까지 밀고 나가겠습니다, 착각뿐이라 해도
끝까지 밀고 나가겠습니다, 착각뿐이라 해도
감사드립니다. 기도하는 손과 시 쓰는 손 사이에서 살아가게 하신 하나님께, 스스로를 사랑하기 힘든 나를 사랑해 주시는 부모님께, 항상 그곳에 있어 주신 김행숙 선생님께, 끊임없이 도전하시는 최정례 선생님께, 함께 아파해 준 시나락과 창비학당, 교회와 동네 친구들에게. 그리고 어둠 속에서 이름을 불러 주신 심사위원 선생님들께.
충분히 오해하겠습니다. 할 수 있는 것이 착각뿐이라 할지라도 끝까지 밀고 나가겠습니다. 이 몸을 뚫고 지나가는 시간들에 미안하지 않도록 조금이라도 더 감각하겠습니다. 너무 많은 것을 빚지고 있어서 일일이 말하지 못하는 것을 사과드립니다. 피곤하시더라도 조금씩만 더 행복해지셨으면 좋겠습니다.
△1988년 서울 출생 △강남대 국어국문학과 졸업
● 심사평
대담한 문장으로 사유의 힘 과장 없이 표현
심적 상태, 진술 대신 묘사… 완성도 돋보여
심적 상태, 진술 대신 묘사… 완성도 돋보여
예심을 거쳐 본심에 오른 작품들은 예년에 비해 균일한 수준을 유지하지 못했다. 작품들은 전체적으로 수준의 편차가 컸고, 동시에 개개인의 작품 5편이 고르게 일정한 수준에 오른 경우도 드물었다. 그러나 문학적 성취는 평균에서 비롯되는 것만은 아니다. 평균을 어림잡는 일과 당선작을 선별하는 일이 이 경우에는 조금 달랐다.
4명의 작품이 최종 논의 대상이 되었다. ‘아보카도의 날’ 등 5편은 비교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잘 만들어진 조립품을 연상시켰다. 거듭 읽을수록 접합부가 불거지는 듯한 점이 아쉬움을 남긴다. ‘랑헨에서’ 등 5편은 자연스럽게 읽히는 리듬감을 갖춘 측면에서 강점이 있지만 감상적인 전개가 아쉬웠다. ‘30분’ 등 5편은 사유의 폭과 문장의 수일성(秀逸性)이 돋보였다. 특히 ‘30분’ 같은 작품은 당선권에 근접했다. 그러나 다소 건조하고 예사로운 어조로 일상을 묘사하는 여타 작품들에서 기시감을 느낄 수 있었다. 조금 더 개성 있게 썼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든다.
김혜순 씨(왼쪽)와 조강석 씨.
김혜순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교수·조강석 연세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