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일제강점기 ‘문화재 지킴이’ 간송이 수집한 유물 60여점

입력 | 2019-01-04 03:00:00

3·1운동 100주년 기념 특별전 DDP 마지막 전시… 31일까지 열려




간송 전형필이 경매 등을 통해 수집한 유물. 왼쪽부터 청자상감운학문매병(13세기·국보 제68호),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18세기·국보 제294호), 청자모자원숭이형연적(12세기·국보 제270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일제강점기 우리의 문화재를 지켜냈던 간송 전형필(1906∼1962)의 유지를 이어받은 간송미술관이 올해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특별전 ‘대한콜랙숀―대한의 미래를 위한 컬렉션’을 4일 개최한다.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간송이 일제에 대항해 모으고 지킨 최정상급 문화재를 한데 모았다. 친일파의 불쏘시개가 될 뻔했던 겸재 정선의 ‘해악전신첩’(보물 제1949호), 경성미술구락부 경매를 통해 지켜낸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국보 제294호) 등 국보 및 보물 14점을 비롯해 고려청자와 조선백자, 추사 김정희 글씨 등 60여 점을 만날 수 있다.》
 
전시장은 크게 다섯 구역으로 나뉜다. 첫 번째 공간 ‘알리다’는 무료로 공개하는데, 5년간 DDP에서 열렸던 간송미술관 전시를 갈무리한다. ‘전하다’는 3·1운동의 중심에 있었던 보성고보를, ‘모으다’는 보화각(간송미술관의 전신)을 소개한다. 한만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실장은 “역사적 의미를 보여주는 ‘히스토리 텔링’에 집중해 문화재 실물은 물론 그 뒤에 얽힌 비화도 자세히 담았다”고 설명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곳은 영국 수집가 존 개즈비 컬렉션을 전시한 다섯 번째 공간 ‘되찾다’다. 일본 주재 변호사이자 도자기 수집가였던 개즈비가 모은 고려청자 20점을 만날 수 있다. 중국에서도 신비롭다며 ‘비색’이라고 불렸다는 옅은 초록색에 세련된 감각으로 장식된 고려시대 청자들은 언제 봐도 질리지 않는다. 고미술 수집가에게 꿈의 컬렉션이었던 개즈비 컬렉션을 간송은 대대로 내려온 충남 공주 일대 1만 마지기 땅을 팔아 인수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축구장 하나가 대략 10마지기 정도다. 간송 측은 개즈비의 후손을 찾으려고 최근까지 노력했지만, 그의 행적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간송 하면 떠오르는 ‘청자상감운학문매병’(국보 제68호)도 이번 전시에 모습을 드러낸다. 당당하게 벌어진 어깨와 굽으로 이어지는 도자기의 유려한 곡선. 옥처럼 깊은 청색의 몸체를 새하얀 학과 구름이 가득 채운 걸작 중의 걸작. 일제강점기 개성 근교에서 발견돼 총독부박물관도 탐을 냈지만, 당시 서른도 안 된 청년 간송이 거금 2만 원을 주고 구입했다. 1935년 기와집 20채 가격이었다.

한편 이번 전시는 2014년부터 DDP에서 열린 간송미술관의 마지막 전시다.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이 문을 열기 전까지 소장품은 다시 볼 수 없다. 전인건 간송미술관장은 “대중을 위해 DDP에서 전시를 열었는데 어느 정도 목표가 충족됐다고 본다. 가능하면 올가을부터 성북동에서 다시 관람객을 맞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3월 31일까지. 8000∼1만 원.
 
김민 기자 kimm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