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美 고용-부채 긍정적 신호… 中경제 둔화 가시화 최대변수

입력 | 2019-01-07 03:00:00

글로벌 경제 좌우 미국 올해 명암
파월 “美 주요지표 여전히 견조”, 통화정책으로 불안 재우기 의지
미중 무역협상 기대 반 우려 반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땐 인프라 투자 지연될 가능성도




4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전날보다 746.94포인트(3.29%) 급등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속도 조절 방침과 함께 미국 고용지표 호전, 미중 무역전쟁 협상 소식 등이 주가를 견인했다. 뉴욕=AP 뉴시스

그간 점진적 금리 인상 기조를 견지하던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비둘기파(통화정책 완화) 메시지를 던진 배경에 월가를 비롯한 각국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통화 정책과 경기 둔화에 대한 시장 불안을 선제적으로 잠재우겠다는 의지로 읽히지만 세계 경제를 끌고 가는 미국 경제에 대한 고민이 배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정점을 찍은 미국 경제가 올해 성장이 둔화되고 내년에는 잠재성장률(1.8∼2.0%) 이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미국 경제의 올해 명암을 살펴봤다.

파월 의장은 4일(현지 시간)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전미경제학회(AEA) 연례총회’에 참석해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시사하는 동시에 “대부분의 중요 지표는 여전히 견조한 편”이라고 했다. 작년 말부터 널뛰기를 반복한 뉴욕 증시에 대한 우려를 의식하듯 기초체력(펀더멘털)이 안정적이라고 강조한 것이다.

파월 의장은 최근 발표된 고용지표에 대해 “새해에 긍정적인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한 궤도에 강하게 올라섰다”고 평가했다. 노동부는 지난해 12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31만2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시장 예상치 17만6000명을 훨씬 뛰어넘는 수치다. 지난해 12월 시간당 임금은 2017년 같은 달보다 3.2% 올라 2008년 이후 최고치였다.

긴축 속도 조절과 맞물려 가계부채가 개선된 점도 미국 경제의 건전성을 확인하는 대목이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 2분기(4∼6월) 97.9%까지 치솟았지만 지난해 3분기(7∼9월) 75.4%로 떨어졌다.

하지만 일자리와 부채 등 각종 지표는 미중 무역전쟁과 중국 경기 둔화 등 최근 나오고 있는 이슈와 맞물려 언제든지 불안 요인으로 바뀔 수 있다. 7, 8일 중국 베이징에서 미중 차관급 무역협상이 진행된다는 소식은 당장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반면 이번 협상이 실패해 무역전쟁이 확산하면 미국 GDP 하락과 기업 투자 감소가 불가피하다. 미국의 대중국 추가 관세 부과 품목에는 중간재와 원자재 등이 다수 포함돼 있어 향후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는 비둘기파의 입지를 제약할 수 있는 요인이다.

중국 경제 둔화가 가시화하는 점도 미국 경제 위협의 요인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주 발표한 시중은행 지급준비율 1%포인트 인하 방안에서 보듯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한국의 국회 격)를 앞두고 다양한 경기 부양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쏟아부은 4조 위안(약 650조 원)이 채 회수되지 않아 각종 부작용이 나오는 상황에서 당시와 같은 화끈한 경기방어 수단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미국 국경장벽 설치 문제 등을 두고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인프라 투자 등이 지연될 우려도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지난해 법인세 인하로 기업 실적이 좋아진 ‘트럼프노믹스’의 정책 효과가 소멸됐지만 아직 미국 경제의 구조적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강유현 기자 yhkang@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