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션 임성훈
건강관리는 한국인의 새해 목표에도 어김없이 들어간다. 세밑(한 해가 끝날 무렵) 한 온라인쇼핑몰의 설문조사에서도 새해 결심 1순위는 ‘건강을 위한 운동’(34%)이었다. 한데 건강 문제에 민감한 한국 사회에서 갈수록 소득 수준과 거주 지역에 따라 ‘건강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발간한 2018년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비만 당뇨병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 발병률은 고소득층보다 저소득 계층에서, 도시보다 시골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성인 여자 비만율의 경우 ‘소득상층’ 20.5%, ‘소득하층’ 31.6%로 격차가 크게 벌어져 심각한 상황이다. 2011년 12.3%포인트로 벌어진 뒤 거의 해마다 10%포인트를 넘는 수준이다.
공중보건학자인 마이클 마멋의 ‘건강 격차’에 따르면 국민 건강은 사회적 여건과 평등에 좌우된다. 인간의 존엄과 직결되는 건강 불평등을 줄여나가기 위한 효과적인 대책과 자원 배분이 필요한 까닭이다. 모두가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것, 그 어떤 사회정의보다 시급한 화두이지 싶다.
동아일보 1월 5일 자 고미석 논설위원 칼럼 정리
칼럼을 읽고 다음 문제를 풀어 보세요.
① 이상(以上): 수량이나 정도가 일정한 기준보다 더 많거나 나음.
② 이상(理想):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완전한 상태.
③ 이상(異常): 정상적인 상태와 다름.
2. 다음 중 본문을 읽고 보이는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① 건강에 대해 지나치게 염려하는 것도 문제야.
② 한국 사람의 절반 이상은 자기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하다고 생각하고 있군.
③ 소득이나 사는 곳에 따라 질병이 생기는 비율이 다르구나.
④ 공중보건학자 마이클 마멋은 국민의 건강은 사회적 여건과는 상관없다고 했어.
김재성 동아이지에듀 기자 kimjs6@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