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아동착취 재료는 가라” LG화학 ‘착한 코발트’ 대작전

입력 | 2019-01-18 03:00:00

포드-IBM 등 글로벌 기업과 연계 ‘블록체인 시스템’ 시범 운영 시작
공급망 투명화해 문제 업체 퇴출, “사회적 책임 다하는 성장 추구”




3년 전인 2016년 1월, 국제앰네스티는 ‘목숨을 건 코발트 채굴’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전 세계 코발트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4만 명의 어린이가 일당 1∼2달러를 받고 12시간 이상 중노동을 하다 사고로 죽거나 다치고 평생 방치되는 실상을 낱낱이 고발했다. 코발트는 스마트폰, 전기자동차 등에 쓰이는 배터리 원자재인 ‘양극재’의 핵심 원료다. 당시 마크 더맷 국제앰네스티 조사관은 “코발트를 쓰는 다국적 기업들이 코발트의 획득 방식에 대해선 전혀 관심이 없다”고 비난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블록체인 시스템이 도입됐다. LG화학은 미국 포드와 IBM, 중국 화유코발트, 영국 RCS글로벌 등 해외 기업들과 함께 코발트 공급망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코발트 블록체인 시스템’을 올해 초부터 시범 가동했다고 17일 밝혔다. 분산형 데이터 저장으로 조작과 해킹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블록체인의 특성을 활용해 공급망을 투명화한 것이다. 생산 과정에서 아동 착취 등 인권침해가 있는 광산의 제품은 사용을 막겠다는 것이다.

코발트는 채굴과 정련(精鍊)을 거친 후 양극재로 만들어지고, 이 양극재가 전기차용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로 쓰인다. 중국 화유코발트는 코발트 분야의 세계 최대 채굴 및 정련 전문기업이다. LG화학은 정련 과정을 거친 코발트를 사들여 니켈, 망간, 리튬 등 다른 원료와 혼합해 양극재로 만든 뒤 배터리를 생산한다. 포드는 LG화학의 전기차용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 제조사다.

블록체인 시스템 도입으로 이들 3개 회사는 코발트가 쓰이는 배터리 공정의 모든 이력을 데이터화해 영국의 원재료 공급망 검증 기관인 RCS글로벌에 전송한다. RCS글로벌의 검증을 거친 데이터는 미국 정보기술(IT) 기업 IBM의 블록체인 플랫폼에 분산 저장돼 조작과 해킹으로부터 보호된다.

또 LG화학, 포드는 IBM의 플랫폼에서 코발트의 물량별 생산지 정보를 비롯한 채굴 방식, 운송 경로 등 모든 공급 과정을 언제든지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권침해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난 광산에서 생산된 코발트, 이 코발트로 만들어진 배터리를 걸러 낼 수 있다. LG화학은 2017년부터 비윤리적 방법으로 취득된 원자재 사용을 스스로 금지하고 있는데, 코발트에 대해서도 이를 확실하게 준수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LG화학과 포드, 화유코발트 등 3개사는 올해 6월까지 시범 사업을 진행한 후 결과에 따라 정식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구축해 업계 표준 모델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김종현 LG화학 전지사업본부장은 “세계 최고의 배터리 업체로서 제품의 성능과 품질뿐만 아니라 원재료 수급에서부터 사회적 책임을 다해 지속 가능한 성장체제를 갖추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16년 국제앰네스티 보고서 발표 이후 국내 다른 배터리 생산기업들도 ‘윤리적 코발트’를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SDI는 보고서가 발표된 직후 자사 제품에 쓰인 코발트를 가공한 것으로 추정되는 제련소 명단 21곳을 공개하는 등 공급망 투명화에 나서 2017년 12월 국제앰네스티로부터 ‘충분한 조치를 취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도 지난해부터 코발트 공급업체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황태호 기자 tae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