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구청 담장 헐어 나무 심고, 소방서 옥상에 텃밭 조성

입력 | 2019-01-18 03:00:00

[서울시, 미세먼지 줄이기 틈새대책]<하>
공원 적은 도시, 미세먼지에 더 취약… 공공기관 자투리 땅 활용 녹지 늘려
올해 대검 등 16곳에 나무심기 계획… 작년엔 11곳서 옥상 텃밭 조성 참여




지난해 7월 담장을 철거하고 나무 153그루와 관목 6500여 그루를 심은 강동구청 전경. 강동구 제공

당장 눈에 보이는 효과가 없어 간과하기 쉬운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녹화(綠化)가 있다. 녹지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은 때는 거의 없었다. 그래서 더욱 둔감해지기 쉬운 대책이기도 하다. 미세먼지는 혈관같이 미세하고 복잡한 나뭇잎 표면에 달라붙는다. 나무가 숨쉬는 과정에서 미세먼지는 잎 내부로 흡수된다. 숲의 존재 자체만으로도 미세먼지의 이동 면적과 속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서울은 주요 선진국 도시와 비교해 공원을 비롯한 녹지 면적이 현저히 작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0년 기준 1인당 도시공원 조성 면적은 독일 베를린 27.9m², 영국 런던 26.9m², 미국 뉴욕 18.6m²다. 반면 서울은 2016년 기준으로 8.0m²에 불과하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1인당 공원면적 9m²보다 작은 수준이다.

2016년 8월 런던은 “2050년까지 도시를 국립공원도시로 만들겠다”며 도시 면적의 50%를 자연친화 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서울시 푸른도시국은 “올해부터 녹지를 가꾸는 목적의 주요 요인으로 미세먼지 저감을 분명하게 정하고 산림청과 협의해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서울시와 산림청은 미세먼지 저감 등을 주요 목표로 업무협약을 맺었다.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효과가 좋은 수종(樹種)을 찾아내 녹화사업을 할 때 우선적으로 심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현재까지 키가 큰 나무 가운데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우수한 상록수종은 잣나무와 주목, 향나무 등이다. 낙엽수 중에서는 느티나무와 밤나무가 뛰어나다. 울타리용으로 사용되는 관목류 중에서는 두릅나무나 국수나무가 효과적이다.

문제는 서울에 공원을 비롯한 녹지를 본격적으로 조성할 공간을 구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공공기관의 틈새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공공기관 담장을 허물고 그 자리에 나무와 화초를 심거나 옥상에 텃밭을 만드는 것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서초구 서울고등법원과 대검찰청 등 공공기관 11개 건물의 옥상(총면적 5029m²)을 정원으로 만드는 사업을 진행했다. 올해는 공공기관 수와 옥상 면적을 더욱 넓힌다.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건물과 서초구 대검찰청을 포함해 16개 기관 옥상 7500m²에 나무를 심을 계획이다. 지난해 9월 옥상에 정원을 꾸민 관악소방서는 올해 담장을 철거하고 나무를 심는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기관뿐 아니라 도심의 민간이 소유한 자투리땅을 찾기 위해 ‘땅 찾기’ 신고를 받고 포상을 하는 정책 등을 논의하고 있다”며 “녹화는 당장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지는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분명해 꾸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불태(百戰不殆)라는 생각으로 미세먼지 관련 연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울시 대기오염 측정망을 운영하는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12월 미세먼지 분석 등을 위한 대기오염측정소를 51개에서 56개로 늘렸다고 밝혔다. 특히 대기오염측정소가 공원 안에만 있던 송파구 올림픽공원과 성동구 서울숲에는 각각 주거지역에도 1개씩 신설했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시민들이 진짜 사는 곳의 대기 질을 정확히 측정하고 녹지와 도심 주거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 연구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예윤 기자 yeah@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