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장전반 김진수 결승골’ 한국, 바레인 2-1로 꺾고 8강

대한민국 축구대표팀 손흥민이 22일 오후(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두바이 막툼 빈 라시드 경기장에서 열린 2019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16강 대한민국과 바레인과의 경기에서 벤투 감독과 대화하고 있다. © News1
결과적으로 두 번째 조건은 충족하지 못했다. 조별리그를 무실점으로 통과했던 대표팀은 이번 대회 4번째 경기 만에 첫 실점을 내주며 연장까지 뛰어야했다. 최종 지향점까지 갈 길이 꽤 남았다는 것을 감안할 때 토너먼트 첫 관문에서 힘을 소진한 것은 아쉽다.
어쨌든 ‘승리’를 거머쥐는 것에는 성공했다. 생존이 가장 중요하다. 피 말리는 승부차기까지 가지 않았다는 것도 불행 중 다행이다. 만약 잔인한 게임까지 진행이 됐다면 육체적 피로에 정신적 소모까지, 손해가 막심했다. 요컨대 이겨야하는 경기 이겼으니 됐다. 다만 궁극의 목표인 ‘우승’까지는 갈 길이 멀고 또 험해 보이는 벤투호다. 타박이 아니라 걱정이다.
안정적으로 수비에 신경을 쓴 뒤 역습을 도모할 것이라는 다수의 예상과 달리 바레인은 시작부터 과감하게 달려들었다. 상대가 엉덩이를 뒤로 빼지 않으면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워낙 강한 압박을 가해온 터라 부정확한 패스가 남발되면서 좀처럼 기회를 잡지 못했다.
한국은 전반 44분에야 첫 유효슈팅을 기록했는데, 다행히 그것이 골로 연결됐다. 오른쪽 측면에서 이용이 올린 낮은 크로스가 바레인 골키퍼를 맞고 박스 안에 있던 황희찬 앞으로 향했다. 이를 황희찬이 정확하게 밀어 넣어 선제골을 터뜨렸다.
이번 대회 들어 유난히 힘이 많이 들어간 탓에 마무리에서 아쉬움을 보였던 황희찬이 지금과는 다른 침착함으로 선제골을 넣었을 때만 해도 이상적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기대가 들었다.
그러나 선제골을 넣고도 한국은 쉽사리 분위기를 끌어오지 못했다. 후반전에도 상대의 자신 있는 공격에 애를 먹는 장면이 자주 발생했다. 그러던 후반 32분, 어수선한 상황에서 이번 대회 첫 실점이 나왔다. 알 휴마이단의 슈팅을 홍철이 골문 앞에서 막았지만 이어 알 로마이히가 재차 슈팅,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경기는 연장으로 접어들었고 연장전반이 끝날 때까지도 득점은 나오지 않았다. 때문에 연장전반 추가시간에 나온 김진수의 헤딩 득점은 너무도 값졌다. 김진수는 오른쪽 측면에서 이용이 올린 크로스를 몸을 던지는 헤딩으로 연결해 다시 앞서나가는 득점의 주인공이 됐다. 이것이 결국 결승골이 되면서 대표팀은 벼랑 끝에서 벗어났다.
대한민국 축구대표팀 김진수가 22일 오후(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두바이 막툼 빈 라시드 경기장에서 열린 2019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16강 대한민국과 바레인과의 경기에서 2대 1로 승리한 후 자축하고 있다. © News1
여론은 괜히 꼬여만 갔고, 지금껏 담담하게 대하던 벤투 감독도 “부임 후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았는데 왜 이런 반응이 나오는지 모르겠다”며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이런 흐름 속에서 마주한 토너먼트 첫 관문은 예상보다 더 고행이었다.
바레인을 꺾으면서 8강에 올랐고 벤투 감독 부임 후 무패행진은 11경기(7승4무)로 늘어났다. 이기는 것이 가장 중요한 단계에서 이겼으니 딱히 문제될 것은 없다. 그래도 걱정스러운 마음까지 숨기긴 어렵다. 목표가 우승이기 때문이다.
59년 묵은 한을 풀기 위해서는 앞으로 3번의 경기를 더 이겨야 한다. 갈 길 멀고 험해 보이는 벤투호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