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러시아 국민들의 신뢰가 33%를 겨우 넘는 수준으로 떨어져 지난 2006년 이후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러시아 국영 공공여론조사센터가 최근 실시한 조사에서 나타났다고 알자지라 방송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푸틴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지난주 경제성장 둔화와 가처분소득 감소, 국민들의 큰 불만을 부른 은퇴 연령 인상 등으로 크게 떨어져 33.4%에 머물렀다. 지난 2015년 7월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크림반도를 합병한 직후 신뢰도는 71%에 달했었다.
지난해 12월 모스크바의 독립적인 여론조사기관 레바다 센터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3%가 푸틴 정부를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에 대한 지지는 2015년 6월의 89%에서 크게 떨어지기는 했지만 63%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었다.
불레그 연구원은 “푸틴 대통령은 옛 소련 붕괴로 허약해진 러시아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고 국제사회에서 러시아의 목소리를 높일 것을 (국민들에게)약속했지만 시리아 내전에의 개입과 우크라이나 분쟁이 장기화하면서 국민들의 삶의 수준에 큰 대가를 치르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러시아 국민들의 가처분소득은 2014년 이후 감소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더욱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러시아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1.7% 성장한데 이어 올해에도 1.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 따라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러시아에 가한 경제제재는 5년 가까운 세월이 흐르면서 러시아에 큰 타격을 가하고 있다.
러시아에 대한 제재는 올해에도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EU는 러시아의 방위산업 및 에너지, 금융산업에 대한 제재를 2019년 중반까지 연장했고 미국도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 부과를 논의하고 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