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 논란을 빚은 동물권 단체 ‘케어’ 박소연 대표가 추가로 횡령을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박 대표는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반박했다.
서울 종로경찰서는 24일 오후 2시께 유영재 비글구조네트워크 대표를 소환해 고발인 조사를 벌였다.
조사에 앞서 오후 1시55분께 취재진과 만난 유 대표는 “케어의 전신 ‘동물사랑실천협회(동사실)’의 옛날 회계자료를 확보했다”며 “그 자료를 보면 일부 뭉칫돈이 박소연씨 가족 명의로 몇 차례 출금된 기록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확보한 회계 장부와 출금 액수에 대해서는 “말씀드리면 저쪽(박 대표 측)이 준비할 수 있는 사안”이라며 “조사 때 충실히 답하겠다”고 했다. 출금된 뭉칫돈은 “(보호소 관리소장으로 있는 박 대표의) 아버지가 받은 월급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유 대표는 케어의 미국 현지법인에 대한 의혹도 제기했다. 앞선 19일 기자회견에서 박 대표는 케어 미국 법인에서 들어오는 후원금 규모에 대해 “몇 천만원 수준으로 알고 있다”고 답한 바있다.
유 대표는 “미국 국세청 IRS에 해외법인을 조회해 본 결과 3년간 (케어는) 전혀 실적 신고를 하지 않았다”며 “미국도 한국처럼 비영리단체는 기부금 실적 신고를 하게 돼 있는데 3년간 전혀 안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케어가 미국 홈페이지와 SNS로 왕성한 모금활동을 했는데 그 모금액이 미국 계좌로 들어갔다면 왜 3년간 신고를 안 했냐는 것”이라며 “미국 케어에서 한국 케어로 들어온 회계 내역이 전혀 없다고 전 회계팀장에게 구두로 확인했으며 상세한 내역을 경찰 조사에서 확실히 밝힐 것”이라고 했다.
그는 박 대표가 지난 19일 기자회견에서 안락사가 불가피했다고 항변한 것에 대해서는 “궤변같다”고 일축했다.
이날 제기된 의혹에 대해 박 대표는 “모두 허위사실”이라며 “고발자의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 법적 대응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경찰은 유 대표 조사 후 고발장에 함께 이름을 올린 이들에 대한 소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비글구조네트워크 등 동물권단체들은 지난 18일 박 대표를 사기·횡령·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이들은 박 대표가 지속적으로 구조 동물들에 대해 무분별한 안락사를 시행해 동물보호법을 위반했다고 봤다. 동물 등을 적극적으로 구조·치료하고 계속적인 보호·관리가 이뤄진다고 믿는 후원자들을 속여 기부를 받은 것은 사기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이외 자유대한호국단 등 보수 시민단체들과 동물보호활동가이자 동물보호명예감시원연합 박희태 사무총장도 박 대표를 동물보호법 위반 등 혐의로 고소·고발했다.
경찰은 관련 고발인 조사를 모두 마친 후 박 대표를 소환할 방침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