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2차 북미회담 다가오니…중·일·러, 일제히 ‘대북 러브콜’

입력 | 2019-01-30 16:31:00

中, 북미 실무회동 직후 워싱턴서 미중 북핵대표협의
日, 北·中에 러브콜…“한반도 지분 강화·美견제 시도”




© News1 DB


내달 말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중·일·러 등 한반도 주변국의 움직임도 분주해진 모양새다.

한동안 정체됐던 비핵화 협상이 최근 북미 고위급 회담과 스웨덴 실무회담을 계기해 다시 속도를 내는 가운데 북한을 향한 주변국의 러브콜 경쟁도 한층 더 치열해진 모습이다.

특히 가장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국가는 역시 중국이다.

중국은 스웨덴에서 19~21일(이하 현지시간) 열린 남북미 실무회동이 끝난 직후인 23일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쿵쉬안유 외교부 부부장을 워싱턴D.C로 보내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양자협의를 실시했다.

미 국무부는 비건 대표와 쿵 부부장이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를 진전시키기 위한 노력에 대해 논의해다”면서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진전과 병행해 북미 관계 전환과 한반도에서의 지속적 평화 구축에 대한 진전을 이뤄가는 데 있어 미국의 지속적인 의지를 양측이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7일 베이징에서 열린 북한 친선 예술단 공연을 부인 펑리위안 여사와 함께 직접 관람하며 북중 우호관계를 또 한번 과시했다. 외국 정상 부부의 방중이 아닌 특정 단체 공연에 국가 주석 부부가 참관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시 주석은 올해 첫 정상 회동이었던 지난 7~10일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 기간에도 최상의 의전을 제공하고 생일잔치까지 열어주는등 극진히 대접했었다.

중국의 이러한 행보는 결국 미국을 향한 메시지라는 분석이다.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의 뒤에는 중국이 있다는 것을 전세계에 과시함으로써 북한에 힘을 실어주는 한편, 무역 등 문제에서 갈등중인 미국에는 압박을 가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그간 북한과 대화를 계속 추진해왔던 일본 역시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에 대한 구애를 한층 강화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직접 마주 보며 모든 기회를 놓치지 않게 과감히 행동하겠다”면서 북일 국교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일본은 그간 센카쿠열도(중국명:댜오위다오) 영유권을 둘러싸고 갈등을 지속해왔던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아베 총리는 시정 연설에서 국가별 외교정책을 설명하면서 중국을 가장 먼저 언급하면서 중국과 계속된 정상 왕래를 통해 “중일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격상하겠다”고 말했다. 과거사와 초계기 갈등으로 관계가 악화된 한국은 의도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과 비교된다.

시진핑 주석 부부가 북한 예술단 공연을 직접 관람했다는 신화통신의 보도 - 신화통신 갈무리

중국도 일본의 러브콜에 “일본이 중국과 함께 노력해 중일관계가 새로운 발전을 이루도록 추진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 발전과 번영을 지켜나가기 위해 공헌하길 바란다”며 환영 입장을 밝혔다. 무역전쟁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서 자신들의 지분을 공고히 하고 미국을 견제하려는 양국간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중국과 일본 정부는 내달 1일 베이징에서 양국 외교 국방당국 고위 관료가 참여하는 ‘안보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2017년 10월 도쿄에서 마지막으로 열린 바 있는 안보대화에는 중국 측 북핵대표인 쿵 부부장도 참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 역시 북러 정상회담을 계속 추진하며 북한과 친선관계를 계속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는 북미간 협상이 교착에 빠졌던 작년 10월에는 북한에 핵·미사일 해체 대가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제안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포스트(WP)는 29일 “러시아가 10월께 북한에 핵·미사일을 해체하는 대신 원전을 건설해 직접 운영하고, 모든 부산물과 핵폐기물을 러시아로 반환하는 계획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WP는 “러시아의 제안이 아직 협상 중인지 북핵 협상에 이미 영향을 미쳤는지는 불분명하다”면서도 이러한 제안이 한반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는 중국과 미국 정부를 동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