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연임 여부를 좌우할 2020년 미국 대선 열기가 벌써부터 꿈틀대고 있다. 셧다운 사태 이후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이 급락한 사이 민주당에선 정치신인부터 비교적 체급이 높은 인물들까지 속속 대선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백인남성’ 트럼프에 저항? 유색·여성후보 눈길
2020년 미국 대선 후보군의 특징은 유색인종 내지 여성후보가 많다는 것이다. 이는 현재 권력을 쥔 트럼프 대통령과 무관치 않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여성편력과 여성비하 발언으로도 눈총을 샀다. 그는 포르노스타 스토미 대니얼스(본명 스테퍼니 클리퍼드)와의 성관계 추문 및 입막음 의혹으로 꾸준히 구설에 오르고 있으며, 2016년 대선 기간에는 자신의 여성비하 발언 전력을 거론한 여성 앵커에게 ‘생리하는 여성’에 대한 편견을 암시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행보로 인한 유색인종, 여성계의 반감이 2020년 대선에서 민주당 지지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민주당에선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 커스틴 질리브랜드 상원의원 등 여성 후보들이 줄줄이 출사표를 던지고 나섰다.
특히 해리스 의원의 경우 자메이카, 인도 출신 이민자의 딸로 여성 후보인 동시에 유색인종 후보이기도 하다. 워런 의원은 자신의 인디언 혈통을 주장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설전을 벌인 바 있다. 다만 워런 의원이 이 과정에서 DNA증명서를 제출한 것은 오히려 패착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6년 패배 힐러리, 대선출마 가능성 열어둬
러시아 스캔들은 크게 2016년 6월 러시아 인사들이 트럼프 대통령 측근들과 가진 이른바 ‘트럼프타워 회동’과 러시아 정보기관이 클린턴 캠프 등을 해킹해 위키리크스에 정보를 넘겼다는 의혹으로 나뉜다. 위키리크스 정보유출 의혹이 사실일 경우 클린턴 전 장관은 러시아 스캔들의 가장 큰 피해자가 되는 셈이다.
다만 정작 민주당 내에선 클린턴 전 장관이 대선후보가 될 경우 승리 가능성에 회의적 시각을 가진 이들이 적지 않다. 일단 미 대선 역사상 두 번째로 대선에 도전해 성공한 전례가 극히 드물다. 1968년 대선에서 승리한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 1836년 대선에서 승리한 마틴 밴뷰런 전 대통령 정도다.
아울러 클린턴 전 장관이 남편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모니카 르윈스키 전 백악관 인턴 간 스캔들을 권력남용 사건이 아니라고 규정한 점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반감을 가진 여성 유권자들의 표를 모으는 데 치명적 단점으로 꼽힌다.
한편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의 대선행도 꾸준히 거론된다. 워싱턴포스트와 ABC뉴스가 1월21~24일 민주당 성향의 유권자 4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바이든 전 부통령은 2020년 대선후보 선호도 조사에서 9%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샌더스 의원은 해리스 의원(8%)에 이어 4%로 3위였다.
비록 민주당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출사표를 던지거나 자천타천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이들 중 누가 실제 후보가 되든 2020년 대선의 가장 큰 변수는 트럼프 대통령이다. 이들 중 한 명이 일단 후보가 되면, 모두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막기 위해 싸우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초반 골수 지지층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최근 셧다운 사태 이후 그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쉽사리 반등하지 않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와 ABC뉴스가 지난 1월21~24일 유권자 1001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트럼프 대통령 2주 평균 국정수행 지지도는 38%였다. 아울러 NBC뉴스와 월스트리트저널이 1월20~23일 유권자 9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결과 응답자 50%가 셧다운 사태 책임을 트럼프 대통령에 돌렸다.
민주당의 정권 창출을 바라는 쪽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지지율 하락세를 필연으로 보기도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포퓰리즘 정책과 선동적 언행으로 기성정치에 신물난 유권자들의 인기를 얻었지만, 결국 한계를 드러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분석이 트럼프 대통령을 의도적으로 깎아내리려는 기성 언론들의 공격이라는 시각도 있다. 다만 2020년 대선이 ‘트럼프 대 반(反)트럼프’ 구도로 치러지리라는 사실은 자명해 보인다. 결국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2020년 대선의 주인공은 ‘트럼프’인 것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