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은 끝났지만 여전히 시끄러운 빙상계./뉴스1 DB © News1
정확히 1년전 인 2018년 2월 9일, ‘세계인의 겨울 스포츠 축제’ 평창 동계올림픽이 막을 올렸다. 92개국 2900 여명의 선수가 출전, 17일간 기량을 겨룬 평창올림픽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비롯 외신들이 호평했던 성공적인 대회였다. 평창 올림픽은 당시를 계기로 활성화한 남북 스포츠 교류가 2020년 도쿄 올림픽 단일팀 추진으로 이어지는 등 큰 역할을 했으나 대회 후 선수 폭행 등 ‘성과주의’에 집착했던 한국 스포츠의 폐해 또한 극명하게 드러내기도 했다. 평창 올림픽이 지난 1년 간 남긴 명암과 향후 과제를 살펴본다.
4년에 한 번 동계올림픽이 열릴 때마다 가장 큰 관심을 받는 선수들은 스케이터다. 쇼트트랙은 물론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까지 한국 동계 스포츠 스타들이 꾸준히 배출되고 있는 곳이 다름 아닌 빙판이다.
지난 2018 평창동계올림픽도 다르지 않았다. 쇼트트랙의 최민정을 비롯해 ‘빙속여제’ 이상화, ‘피겨 기대주’ 차준환 등이 많은 관심을 받았다. 국내의 설상 종목도 성장세를 보였지만 세계 수준의 기량과 성과를 보인 곳은 여전히 빙상이었다. 하지만 올림픽이라는 화려한 무대가 막을 내린 뒤 문제가 발생했다. 금메달이라는 성과 속에서 곪아왔던 상처가 하나 둘 드러나기 시작했다. 올림픽을 마친 뒤 1년이 지났지만 대한빙상경기연맹은 관리단체가 됐고 빙상계는 여전히 시끄러운 형편이다.
올림픽이 열릴 때도 논란은 있었다. 평창 대회 직전 쇼트트랙 대표팀의 심석희가 코치에게 폭행을 당해 선수촌을 이탈했다. 대회 도중에는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팀추월 대표팀 내에서 왕따 주행 논란이 일었다.
이후 대한체육회가 빙상연맹을 관리단체로 지정하는 등 변화가 기대됐지만 빙상계는 더욱 시끄러워졌다. 심석희는 기존의 폭행 건 외에 성폭행 피해 사실을 추가로 폭로했다.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나 조재범 사태는 스포츠계 미투 운동을 촉발할 정도로 충격적이었다.
이와는 별도로 폭로전도 이어졌다. 올림픽 당시 왕따 논란의 가해자로 지목돼 국민들의 질타를 받았던 김보름은 자신이 노선영에게 괴롭힘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젊은빙상인연대와 전명규 교수는 나란히 기자회견을 열고 서로를 비난하며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빙상계에 이어지는 폭로 속에서 이들을 향한 국민들의 시선도 점차 차가워졌다.
현재로선 결말을 예상하기도 쉽지 않다. 조재범 코치는 상습폭행 혐의로 실형을 선고 받았지만 성폭행 혐의는 현재 수사 중에 있다. 이 외에는 명확히 드러난 것 없이 갈등만 남아 있다. 김보름의 폭로에 대해 노선영은 당시 상황에 대한 답변을 거부했고 전명규 교수는 자신과 관련된 의혹은 전면 부인하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빙상계도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그동안 수많은 메달을 따내며 관심을 받았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한 사제 간의 폭력, 조직의 사유화 등의 문제가 드러나면서 도리어 큰 질타를 받고 있다. 한국 빙상계가 평창올림픽을 마친 뒤 후유증만 앓아 왔지만 이제는 자의든, 타의든 변화가 필요한 때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