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패션부문, 지난해 외형·영업익 모두 줄어 한섬 ‘M&A’, 신세계인터내셔날·LF ‘사업다각화’ 등 과감한 변신
© News1
주요 패션 대기업 상장사 가운데 삼성물산 패션부문만 지난해 실적이 둔화됐다. 외형도 수익성도 모두 ‘뒷걸음’이다. 패션사업 매출이 정체되면서 사업다각화나 인수·합병(M&A) 등 과감한 변신에 나서지 않으면 ‘성장절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지난해 매출액이 1조7590억원으로 전년 대비 0.6% 줄었다. 영업이익은 250억원으로 24.2%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49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과 동일한 38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180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것에 비하면 4분기 실적은 수익성면에서 그나마 선방했다.
과거 ‘LG패션’이 사명으로 삼성의 제일모직과 자웅을 겨뤘던 LF는 사업다각화에 성공하며 양호한 성적표를 받았다. 지난해 실적은 공시 전이지만 3분기 누적 매출은 1조2050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7.8% 성장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59억원으로 22.4% 증가했다. 증권가에서는 지난해 전체 매출이 1조7120억원, 영업이익은 1290억원으로 예상한다. 전년대비 각각 6.9%와 17.3% 늘어난 수준이다.
신세계백화점내 해외사업부로 시작해 1996년 별도 법인으로 독립한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지난해 매출이 14.6% 증가한 1조263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555억원으로 118.3% 급증했다. 신규사업으로 진출한 화장품 사업 덕분이다.
한섬도 두자릿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 행진이다. 한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920억원으로 전년 대비 67.3% 증가했다. 매출은 1조2992억원으로 5.7% 늘었다. 한섬은 타임, 마인, 시스템, SJ 등 ‘토종 여성복 브랜드’의 절대 강자다.
수익성 지표도 한섬과 LF가 돋보인다. 한섬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7.08%다. LF는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6.29%. 이어 신세계인터내셔날이 4.39%를 기록했다. 반면,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영업이익률은 1.87%에 불과하다. 거의 ‘본전 장사’다.
이들 패션 대기업의 명운을 가른 것은 사업다각화 등 ‘변신’ 전략이다. LF는 LG패션에서 2014년 이름부터 바꿨다. ‘Life in Future’의 약자로 패션이 아닌 ‘라이프 스타일’ 전문기업으로 입지를 넓혔다. 과감한 인수·합병(M&A) 전략으로 식품, 유통, 화장품 등으로 사업을 넓혔고 지난해 말에는 국내 3위 부동산 신탁회사 코람코자산신탁도 인수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012년 화장품 브랜드 ‘비디비치’를 인수하면서 해외 명품 수입 위주의 사업군을 넓혔다. 화장품 사업도 2017년 5억7000만원 규모의 흑자를 내기 전까진 적자였다. 인수한지 5년만의 ‘턴어라운드’다. ‘오너’ 경영자로 적자를 감내하고 사업을 계속 밀어붙인 정유경 신세계 백화점부문 총괄사장의 ‘뚝심 경영’ 성과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한섬은 현대백화점과의 ‘짝짓기’로 ‘윈윈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1등 여성복 브랜드 파워와 백화점 유통 채널의 결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다. 한섬은 2012년 현대백화점그룹에 인수됐다. 여성복에만 주력하고 있지만 M&A로 입지를 넓힌 전략이 주효했다. 신세계백화점도 신세계인터내셔날을 패션 계열사로 두고 시너지 효과를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롯데백화점도 패션 브랜드 인수에 나설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인수 후보로는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거론된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오너’인 이서현 전 삼성물산 패션부문 사장이 지난해 말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매각설이 제기됐다.
업계 관계자는 “의류 소비도 명품과 저가제품으로 양극화돼 의류 매출이 정체돼 있다”며 “패션 기업은 사업다각화와 수익성 확보를 위한 효율성 제고가 선택이 아닌 생존의 조건이 됐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