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후덜덜’ 홀로 벌이는 중력과의 싸움에 온몸이 경련

입력 | 2019-02-28 03:00:00

서울시무용단 ‘일일 단원’ 체험기




서울 세종문화회관 내 서울시무용단 연습실에서 수업을 주도한 정혜진 단장(가운데 앞쪽)이 한 발을 들어 올린 채 시범을 보였다. 이를 따라 하던 기자(가운데 뒤쪽)는 발을 들어 올릴 시간을 놓쳤다. 정 단장은 “박자에 맞춰 발을 들어 올리면서 몸의 중심은 절대 흔들려선 안 된다”고 말했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후덜덜…, 이놈의 비루한 몸뚱이.”

2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서울시무용단 연습실.

어느새 주위 시선은 신경도 쓰이지 않았다. 홀로 벌이는 중력과의 싸움. 온몸의 경련을 느끼면서도 넘어지지 않으려 애썼다. 스텝을 계속 바꿔도 쉼 없이 흔들리는 무게중심. 머리로는 알겠는데, 팔과 다리는 영화 ‘그래비티’ 속 궤도를 이탈한 우주선이었다. 이따금 눈에 들어오는 연습실 거울 속의 나. 뻣뻣한 몸이 원망스러웠다.

서울시무용단이 봄 정기공연을 약 100일 앞두고 본격적인 연습에 돌입했다. 무대 위 무용수의 우아한 동작은 언제나 찬사의 대상. 하지만 무대에 오르기까지 누구보다 격렬하게 땀을 흘리는 노력은 간과되곤 한다. 무용이 뭔지 ‘티끌’ 정도라도 맛볼 수 있다면. 25일 기자는 호기롭게 ‘일일 단원’으로 참여해 연습실 문을 두드렸다.

연습 1시간 전. 벌써 단원들은 검은색 연습복을 입고 스트레칭에 분주했다. 근데 왜 하나같이 검은색 옷을 입는 걸까. 어벙한 질문에 단원들의 답은 간단명료했다. “몸이 가장 슬림해 보이잖아요.”

오전 10시, 몸 풀기 수업인 ‘최현 기본’으로 연습이 시작됐다. 전통무용 대가인 최현 선생의 전통 춤 움직임을 응용해 만든 수업이란다. 이 과정을 도입한 정혜진 서울시무용단장은 “현대무용이 위로 솟는 느낌이라면, 한국무용은 중력에 따라 아래로 가라앉는 느낌”이라며 “둘을 융합해야 다채로운 안무와 작품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음악 없이 가볍게”라더니, 몸 풀다 영혼이 빠져나갈 뻔했다. 5분도 안 돼 엄지발가락부터 경련이 일어났다. 쓰지 않던 신체 근육을 혹사한 탓일까. 괜히 미열도 났다. 뭣보다 쉬어가는 타이밍인 줄 알았던 ‘찰나의 정지 동작’이 죽을 맛이었다.

30분쯤 쭈뼛거렸을까. 갑자기 정 단장이 “이제 자진모리로 가자”고 외쳤다. 머릿속에서 꽹과리가 울리며 불안감이 엄습했다. 역시나. 미친 장단을 따라 돌고 또 돌았다. 어지럼증을 느끼며 ‘내가 여기서 무얼 하고 있나’라는 후회가 위장을 타고 오르기 직전, 음악이 멈췄다. 한 단원이 웃으며 손을 내밀었다. “이제 ‘가벼운’ 몸 풀기는 끝났어요.”

이후 김성훈 안무가 지도 아래 본격적인 팀별, 개인별 안무 연습이 진행됐다. 솔직히 털어놓으면, 체험은커녕 흉내도 낼 수 없었다. 인간이 할 수 있는 동작인가 싶은 고난도 자세가 쏟아졌다. 김 안무가는 “무용은 몸으로 말하는 언어이니, 그게 한국어든 영어든 독창적인 외계어를 표현했으면 좋겠다”고 주문했다. 뭔 소린지 못 알아듣는 자신이 고마웠다.

그렇게 오후 5시까지 단원들은 쉼 없이 달렸다. 그러고도 몇몇은 오후 9시에도 연습을 멈출 줄 몰랐다. 눈길을 끄는 건 먹고 마시는 양. 쉬는 시간이면 정수기 앞에서 물을 몸에 쏟아 넣었다. 초콜릿도 자주 먹고, 식사량도 엄청 많았다. “끊임없이 수분, 당분, 에너지 보충을 안 하면 몸이 감당하지 못한다”고 했다.

서울시무용단은 지난달 정 단장이 새로 부임한 뒤 “새 옷으로 갈아입는 작업”이 한창이다. 3월까지 대본 및 캐스팅 작업을 마치고, 새로 활용할 안무를 짠다. 4월부터 공연 안무를 반복하며 완성도를 높인다. 빡빡한 일정이지만 모든 단원이 한마음으로 뭉쳤다.

연습 도중 여성, 남성 단원이 나뉘어 춤추는 장면이 눈길을 끌었다. 정 단장은 “남녀의 거리감으로 ‘미투 운동’을 표현해 봤다”고 귀띔했다. 동작 하나에도 현실적 고민을 담는 과정이리라. 하지만 솔직히 설명을 듣지 않았다면 알 수 있었을까. 정 단장은 “설명 없이도 관객이 이해하도록 하는 게 바로 무용수들의 몫”이라 답했다. ‘창작무용의 산실’이라 불려온 서울시무용단의 하루는 그렇게 뜨겁게 흘러가고 있었다.

김기윤 기자 pe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