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계 캠퍼스에는 2800여명의 학생들이 있다. 이들이 도계읍 곳곳에서 수업을 받고 생활을 하면 현재 인구수 1만2000여 명인 도계는 회생의 길로 들어설 가능성도 있다. 김정규 강원대 삼척 캠퍼스 운영본부장은 “3000여 명의 대학 구성원들이 도계에서 하루 종일 생활한다면 연간 200억 원 이상의 소비가 발생해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한다. 만약 도계 캠퍼스가 학령인구 급감의 직격탄을 맞아 폐교라도 하는 날이면 도계는 다른 산간벽지처럼 지역소멸의 길로 들어설 수밖에 없을 것이다.
강원대는 도계가 스마트 힐링 도시가 될 수 있도록 구상 중이다. 경쟁력이 있는 보건생명, 기계자동차, 에너지 학과의 인프라를 친환경 스마트 도시를 만드는데 활용하면 대학 경쟁력도 높아질 뿐 아니라 ‘사람도 모을 수 있다’는 것. 대학은 캠퍼스를 따로 짓는 것이 아닌 폐가와 폐교를 강의실과 지역민들의 평생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연구와 강의에 꼭 필요한 건물만 지을 예정이다.
강원대는 가까운 시일 내에 도계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계 대학도시’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지방대를 살리는 것은 단순한 교육기관을 살리는 것 이상이다. 정부가 예타 면제 등 다양한 정책을 쏟아내는 것도 국가균형발전의 중요성 때문이다. ‘대학이 무너지면 지역도 무너진다’는 인식을 교육부도 공유해야 한다. 교육부 차관을 지낸 한 인사는 “이동수업 허용은 사무관이 현장에 며칠만 있어보면 알 수 있는 사안”이라며 교육부의 무사안일을 질타하기도 했다.
2023년 한국 대학들은 약 10만 명 정도 신입생을 못 채울 것으로 예상된다(교육부 자료). 이 피해는 고스란히 지방대로 돌아갈 것이다. 학령인구가 줄어들면서 모든 대학이 생존할 수는 없지만 대학의 가치를 발판삼아 발버둥치는 대학과 지자체에는 지원을 해야 한다. 지금처럼 대학정책이 ‘시범실시’ ‘N분의 1식 지원’ ‘획일적 평가’에 머물러선 지방대를 살릴 수 없다. 이동수업 허용은 지원이 아닌 규제 해소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사소한 사안이다. 더 이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정책이 나와서는 안 된다.
이종승 기자 urises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