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 다한 패널 처리대책 시급
태양광 패널에는 모듈을 둘러싼 알루미늄과 유리, 에바(EVA·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롯해 실리콘 웨이퍼에 은을 첨가한 태양전지, 납과 주석으로 도금된 구리선 등이 혼합돼 있다. 재생업체 디에스프리텍에선 폐패널의 알루미늄 지지대를 제거한 뒤 선별기와 열분해장치로 유리와 에바, 구리 등을 분리하고 실리콘 웨이퍼에서 은을 추출한다. 현재 국내에선 태양광 패널을 성분대로 분리하는 설비를 갖춘 곳은 이곳이 유일하다.
지난해 배출된 폐패널은 20t 남짓이어서 아직까지 폐패널 처리에 어려움이 없다. 문제는 앞으로다. 국내 태양광발전은 1980년대부터 시작했지만 매년 1MW 이하로 미미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태양광 주택 보급 사업이 시작된 2004년부터 점차 늘기 시작했다. 현 정부 들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늘면서 급증 추세다.
폐패널 처리 기술과 전문 처리업체를 시급히 양성하지 않으면 조만간 ‘폐패널 처리 대란’이 올 수 있는 것이다. 유럽연합(EU)은 태양광 패널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업체들이 회비를 내 ‘PV CYCLE’이란 공제조합 성격의 단체를 만들었다. 태양광 패널의 수명이 다했거나 파손되면 이 단체에 연락만 하면 된다. 이 단체가 태양광 패널 회수와 재활용을 전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환경부도 폐패널 처리 대란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먼저 수도권과 호남권, 영남권, 충청권 등 권역별로 ‘폐패널 거점 수거 센터’를 만들 계획이다. 또 태양광 폐패널을 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품 폐기 및 재활용 비용을 생산자에게 일부 부담하도록 하는 제도)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두고 업계와 협의하고 있다.
관련 규정도 미리 정비할 필요가 있다. 현재 태양광 패널을 처리할 때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할 의무가 없다. 따라서 그냥 매립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패널 안에 있는 은과 실리콘 웨이퍼, 구리 등은 모두 재사용이 가능한 자원이다. 하지만 패널을 그대로 매립하면 패널 내 구리나 납 등이 토양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이 된다.
진천=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