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성인 23만명 대상 '지역사회건강조사' "2017년 독일과 비교하면 수면의 질 낮아" 주5일 아침식사 64%…뒷좌석 운전띠 '저조'
우리나라 사람들은 하루 평균 6.7시간 잠을 잤는데 10명 중 4명은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에 5일 이상 꾸준히 아침식사를 하는 국민은 9년 사이 9%포인트 줄었다.
28일 질병관리본부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및 254개 보건소가 만 19세 이상 22만83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르면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6.7시간이었다. 2008년 6.9시간에서 큰 차이 없이 10년째 6.6~6.8시간 사이를 오갔다.
이번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수면의 질을 측정했다.
이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다소 높은 수치다. 스페인에서 43~71세 2144명을 상대로 2009~2011년 조사한 결과(38.2%)와 비교하면 다소 낮았지만 2017년 독일에서 18~80세 928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인 36.0%보다는 높은 값이다.
지역간 수면의 질 격차는 3배까지 벌어졌다.
저하율이 가장 낮은 곳은 전북 장수군으로 20.5%만이 점수 총합에서 5점을 넘겼다. 이외에도 경기 양주시(21.6%), 전북 진안군(21.7%), 전남 보성군(21.9%), 경기 연천군 및 경북 군위군(23.1%) 등도 낮은 불량 수면율을 보였다.
반면 경기 안산시 상록구에 사는 성인들은 10명 중 6명(61.5%)가 수면 저하를 호소했다. 장수군과 비교하면 정확히 3배 차이가 난 것이다. 인천 동구(58.3%), 경남 김해시(56.2%), 인천 계양구(55.7%), 충남 서산시(54.0%) 등도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일주일 안에 아침식사를 주 5일 이상 한 사람(아침결식 예방인구비율)은 63.8%로 2010년 72.9%와 비교해 9년째 떨어지면서 9.1%포인트 낮아졌다.
시·군·구별로 31.4%포인트 격차가 발생했는데 부산 금정구(83.0%), 경북 영덕군(80.5%), 경북 예천군(80.0%) 등에 사는 사람들은 10명 중 8명이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았지만 경기 성남시 중원구(51.6%), 인천 계양구(52.4%), 경기 부천시 오정(53.8%) 등에선 꾸준히 식사를 하지 못하는 비율이 절반에 가까웠다.
어제 점심식사를 하고 칫솔질을 한 사람은 전 국민의 56.7%였는데 대전 유성구가 75.9%로 가장 높았고 제주 서귀포시 서부가 41.2%로 가장 낮았다.
가공식품을 사거나 고를 때 영양표시를 읽는 사람(영양표시 독해율)의 비율은 25.6%였다.
최근 2년 안에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사람은 32.6%로 직전 조사 때인 2016년(28.8%)보다 3.8%포인트 늘었다. 세종(37.8%), 울산(37.1%), 충북(36.5%) 등에서 높은 교육 이수율을 보였지만 대구(27.5%), 전북(29.5%), 부산(30.2%) 등에선 낮은 수치를 보였다.
【세종=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