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부동산 전문가들이 본 김의겸 25억 상가 투자 점수는?

입력 | 2019-03-28 19:35:00

상가는 변수 많아 판단 불가…아파트는 “잘한 선택”
“대출이 문제…국내선 실수요도 투자목적 배제 못해”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8일 관보를 통해 ‘2019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공개했다. 신고내역에 따르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 소재 복합건물(주택+상가)을 25억7000만원에 매입했다. 이 건물은 2층짜리 낡은 건물이나 롯데건설이 재개발 사업을 수주한 ‘흑석 뉴타운 9구역’에 있어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고 있다. 사진은 김 대변인이 매입했다고 알려진 건물. 2019.3.28/뉴스1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서울 동작구 흑석동에 상가 주택을 26억원을 들여 매입해 논란이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강변 입지와 황금노선으로 불리는 9호선을 노린 미래가치 매매라고 보면서도, 상가라는 특성을 고려하면 고개를 갸우뚱하는 반응이 많았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김의겸 대변인은 지난해 7월 흑석9구역 내 상가 주택을 25억7000만원에 사들였다. 매입 금액 중 11억원은 은행(10억원)과 친인척(1억원)을 통해 조달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보면 매수 시기는 적절하지 못했다는 본다. 흑석9구역은 지난해 5월 롯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관리처분인가를 앞두고 있어 정비사업 막바지 단계다. 입주권 가격이 고점을 찍는 시기였다고 설명한다.

◇ 정부 대책 나온다는데 10억 대출로 지른 이유?

건물을 매수한 7월이라는 시기도 투자자 관점에선 좋지 않은 선택이라고 평가한다. 9·13 대책이 나오기 2개월 전으로 이미 부동산 시장이 규제에 반응하는 시기였기 때문이다. 부동산 전문가 A씨는 “9·13 대책 이후라면 좀 더 싸게 살 수 있었다”며 “김 대변인도 9월에 강력한 규제가 나올지는 예상하지 못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전문가 B씨도 “투기적 목적으로 보기엔 매수 타이밍이 잘 설명되지 않는다”고 했다. 단기적으로 집값이 많이 오르면 보통은 부담스러워 매수를 꺼리는 게 일반적인데, 김 대변인이 그냥 지른 것은 쌀 때 사서 비쌀 때 판다는 투자 마인드보다는 재개발 이후 새 집에 살겠다는 생각이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인 것 같다는 얘기다. 그는 “급매로 매입한 것으로 보이지만, 9·13 대책 전후 분위기는 아주 달랐다”며 “김 대변인의 설명처럼 실거주와 수익형 부동산 활용 목적으로 매입한 것 같다”고 말했다.

◇ 상가 투자엔 ‘초짜 vs 아무도 모르는 정보’

전문가들은 상가 매입 투자 자체에 의문을 표시하는 분위기가 많았다. 상가는 아파트와 달리 정비사업 과정에서 이해관계가 복잡해 부동산 ‘초짜’인 김 대변인이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상품이 아니다. 추후 배정받을 상가 동 호수를 포함해 변수가 너무 많다. 전문가 C씨는 “중앙대 인근 상권은 입지에 따라 극과 극으로 나뉜다”며 “단지 내 고정수요만으로 적정 수익률을 낼 수 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런 측면에서 또 다른 전문가는 ‘알 수 없는 무언가의 미래 확신’이 있었기에 과감히 매입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무엇인가 정확한 정보가 있어 25억원이라는 목돈을 투입했을 것”이라며 “일반인이 정비사업 내 상가를 주변 조언만 듣고 사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 입주권 확보 “잘한 일”…그러나 대출의 의미는?

다만 아파트의 미래가치는 긍정적이다. 흑석뉴타운은 집값 상승 최대 호재인 강남을 지나는 9호선과 한강변이라는 자산 가치를 높이는 분명한 호재가 있다. 한 전문가는 “뉴타운이 완성되면 장기적으로 집값이 오를 가능성은 더 높다”며 “입주권은 일반분양보다 싸고 유리한 동 호수를 배정받을 수 있어 적절한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실수요 목적이더라도 청와대에 근무하는 공직자의 처신으로는 적절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대출(레버리지)이 문제라고 설명한다. A씨는 “현금 14억원과 2억∼3억원의 대출로 아파트 한 채를 샀다면 논란은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B씨도 “대출까지 받아 산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는 것을 반기는 집주인은 아무도 없다. 서울 집값이 내려가야 한다고 말은 하지만, (모두) 내 집만은 올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나라 특성상 실수요도 (대출에 따라) 투자 목적을 배제할 수는 없다는 점을 에둘러 꼬집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