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증
전문가들과 질병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알아보는 톡투 건강 핫클릭, 이번 주제는 ‘심장질환의 종착역’으로 불리는 심부전이다. 심부전은 심장 상태가 가장 악화된 상황이다. 대체로 예후가 나쁘다. 또 급성과 만성을 반복하면서 입원하므로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환자나 그 가족의 고통, 삶의 질 저하가 심각해 전문가들은 향후 심부전이 암보다 더 위중한 질병이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국내 심부전 전문가인 대한심부전학회 회장 최동주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와 홍보이사인 김응주 교수(고려대 구로병원 순환기내과)의 도움말로 심부전의 오해와 진실에 대해 알아봤다.
대한심부전학회 회장인 최동주 교수(왼쪽·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와 홍보이사인 김응주 교수(고려대 구로병원)는 “앞으로 심부전이 암보다 위중한 질병이 될 것”이라며 심부전의 오해와 진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최동주 교수=그렇지 않다. 호흡 곤란, 부종, 피로감, 식욕 부진 등이 심부전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심부전 환자들은 물에 빠진 것과 같은 호흡 곤란을 겪는다. 또 심장이 충분한 양의 혈액을 전신으로 공급하지 못하므로 발이나 발목 등이 붓는 부종도 나타난다.
▽최 교수=아니다. 심부전은 급성과 만성이 오가며 진행된다. 즉 만성 심부전이 급성 심부전으로 또는 급성 심부전이 만성 심부전으로 진행된다는 의미다. 급성 심부전으로 입원을 하면 안정기를 거쳐 퇴원 후 만성 심부전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심부전 예후 관리를 위해서는 급성기 이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 기자=심부전은 다른 병들과 다르게 병원에서 퇴원 후가 가장 위험하다는데….
▽김응주 교수=그렇다. 심부전 환자들은 퇴원 후에도 안심할 수 없다. 특히 퇴원 뒤 1개월 이내는 환자들의 상태가 취약한 급성-만성 심부전 이행기로, 높은 재입원 및 사망 위험을 보일 수 있어 심부전 환자들은 퇴원 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 기자=심부전 사망률, 암보다 높나?
▽이 기자=심부전은 여러 합병증이 나타나 완치가 어렵고 뾰족한 치료법이 없을 것 같다.
▽김 교수=심부전은 진행성 질환이므로 완치가 어렵다. 하지만 적절한 시기에 최적의 치료를 하면 충분히 증상을 완화시키고 지장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또 최근엔 사망, 재입원율 등을 감소시킨 신약의 등장, 인공심장 기술, 심장재활기술 발달 등 심부전 치료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 기자=심부전은 적극적 치료와 더불어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필수적이라고 알고 있다. 심부전 환자들은 물을 적게 마시고 심한 운동을 피해야 한다는데….
▽김 교수=맞다. 심부전 환자는 수분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음식을 짜게 먹고, 수분 섭취량이 과하면 심장이 처리하지 못한 혈액 혹은 수액의 양이 넘쳐 폐나 전신이 붓고 숨이 차게 된다. 약 복용 등으로 수분 섭취량이 늘 수 있는데, 심부전 환자는 1.5∼2L 정도의 수분 섭취가 적당하다. 또 과한 운동보다 일주일에 3∼5번, 한번에 30분 이내로 유산소 운동이나 가벼운 근력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