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현장에서/유성열]민노총의 두 얼굴

입력 | 2019-04-11 03:00:00


악수 하는 김명환 민노총 위원장(왼쪽)과 이목희 일자리위 부위원장. 뉴시스

유성열 정책사회부 기자

“앞으로도 정부의 일자리 관련 위원회나 부처와의 정책협의, 대화는 충분히 할 의사가 있다.”

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위원장은 1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렇게 말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는 각종 정부 위원회와 노정교섭에 빠짐없이 참여해왔다”고 강조했다. 자리를 만들어 초청하겠다는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말에도 김 위원장은 “정책협의를 위해서라면 언제든지 만나겠다”고 흔쾌히 응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틀째인 2017년 5월 10일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1호 업무지시’로 내렸다. 본인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양대 노총 위원장을 근로자대표 위원으로 위촉했다. 민노총은 이 일자리위 회의에 빠짐없이 참석했다.

그러나 민노총은 정작 노사정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 4일 열린 임시 대의원대회에선 경사노위 참여 대신 총파업 등 강경투쟁 노선만 강화했다. 전날 탄력근로제 확대를 막겠다며 국회 담장을 허무는 ‘폭력 시위’로 김 위원장 등 50명이 경찰에 입건된 직후였다. 경찰은 이날 집회에서 밧줄 등이 사용된 점으로 미뤄 지도부가 치밀하게 폭력시위를 준비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최근 민주주의의 보루인 국회를 힘으로 제압하려 한 민노총을 두고 여론이 싸늘하다. 민노총 내부에서도 강경투쟁만 일삼는 지도부 행태에 염증을 느끼는 조합원이 늘고 있다. 김 위원장의 10일 발언은 이런 비판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자리위 참석을 계기로 민노총이 투쟁만 고집하는 조직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과 나누기를 추진해 달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주 52시간제로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탄력근로제 확대 등 보완 입법을 통해 기업 숨통을 틔우고, 정규직 노조도 임금인상을 자제하는 등 양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그런데도 민노총은 탄력근로제 논의를 주도한 경사노위에 불참한 채 장외 투쟁으로 일관했다. 국회에서 탄력근로제 운용 기간 확대를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이 무산되자 “투쟁의 승리”라고 자평했다. “정부와 충분히 대화할 의사가 있다”는 김 위원장의 발언에서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다. 김 위원장의 ‘대화 발언’을 두고 노동계 원로는 이렇게 해석했다. “노동계가 일정 부분 양보해야 하는 경사노위 참여를 거부하고,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정부 위원회에만 참여하겠다는 심산 아니겠나.”
 
유성열 정책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