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국제협력포럼 25일 개막 中, 美견제 맞서 본격 세확장… 37개국 정상 등 5000여명 참석 伊이어 스위스도 협력문서 서명 ‘채무함정’ 비판 의식한 中, “순수한 경협 프로젝트” 강조
왕이(王毅)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최근 제2회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 관련 기자회견 시작부터 이렇게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중국과 일대일로를 함께한 국가의 무역 총액이 이미 6조 달러(약 6900조 원)를 넘었고 중국과 함께 세운 해외 협력공단 82곳이 현지에 일자리 30만 개를 만들었다”며 경제적 효과를 유독 강조했다. 일대일로는 해외 인프라 건설 투자를 통해 주변 국가들을 연결하겠다는 중국의 대형 프로젝트다.
왕 위원만이 아니다. 중국 정부는 25∼27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리는 일대일로 정상포럼을 앞두고 관련 부처들을 총동원해 각종 수치를 공개하면서 일대일로의 성과를 내세우고 있다. 이에 따르면 중국 기업이 2013∼2018년 5년간 일대일로 협력 국가에 직접 투자한 자금이 900억 달러를 넘었다. 올해 3월 말까지 일대일로 협력 문서에 서명한 국가가 125개국 및 29개 국제기구에 달한다.
주요 7개국(G7) 가운데 가장 먼저 일대일로에 참여한 이탈리아에 이어 스위스도 율리 마우러 대통령 겸 재무장관이 포럼에 참석해 일대일로 협력 문서에 서명한다. 한때 과다한 채무를 이유로 일대일로 사업 중단 의사까지 밝혔던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도 참석한다. 일대일로 주요 대상국인 말레이시아는 기초 인프라 건설 사업의 규모를 줄이되 계속 추진하기로 중국과 합의했다.
일대일로가 개발도상국을 채무 함정에 빠지게 하는 약탈적인 정책이라고 비판해온 미국도 참여국이 늘어나는 이유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미국의소리(VOA) 중문판은 “(저개발, 개발도상국들은) 기초 인프라 건설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크다. 인프라 건설이 무역능력 제고와 일자리 증가, 경제 다원화에 도움이 된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일대일로 협력국이 채무가 많아 갚을 능력이 안 돼 차관 제공의 국제 기준에 미달해도 투자를 추진한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빚을 갚지 못하면 중국의 통제권에 들어갈 위험성이 크다. 스리랑카 정부가 일대일로 사업의 채무를 갚지 못하자 남부의 주요 항구인 함반토타항의 관리권을 중국 기업에 넘긴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런 우려를 의식한 듯 중국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지정학의 수단이 아니라 순수한 경제협력 프로젝트다. 투자와 차관의 국제 규칙을 존중한다”는 점을 부쩍 강조하고 있다.
베이징=윤완준 특파원 zeit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