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문예지의 ‘젊은 작가상’을 여러 번 받은 김금희의 지난해 베스트셀러 소설 ‘경애의 마음’ 속 남자 주인공 공상수는 이렇게 냉소적으로 연애를 정의한다. 비(非)출산과 비혼에 이어 비연애가 등장한 세태를 엿볼 수 있다. ‘연애를 하지 않는다’는 뜻의 비연애는 비혼처럼 페미니즘 진영에서 기존 남녀관계에 대한 일종의 저항으로 시작됐으나 요즘은 남녀 가릴 것 없는 현상이 됐다.
▷미국 CNN 온라인판이 11일 “한국 청년들이 경제난과 청년실업, 성범죄에 대한 공포 때문에 연애를 기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44세 한국의 미혼 남성 중 26%, 미혼 여성의 32%만이 연애를 한다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KIHASA) 조사를 인용했다. 가난한 청년들이 연애 파업 중이라는 것이다. 청년들은 데이트 1회당 평균 6만 원인 비용이 부담돼 연애를 하기 어렵다고 인터뷰했는데 엄살만은 아닌 것 같다. 동아일보가 핀테크 기업 ‘핀크’ 회원 중 1990년대생 월급 생활자의 평균 급여를 추출했더니 월 148만 원이었다.
▷‘데이트 비용이 없어서’ ‘취업 준비로 바빠서’ 등 사랑하지 않을 이유 100가지를 열거하고 나서도 사랑에 빠지는 것이 인간이다. ‘경애의 마음’ 속 상수도 결국 사랑에 빠지고야 만다. 그런데 연애하는 청년의 비율이 실제로 낮다면, 자발적으로 ‘연애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연애할 수 없어서’라고 보는 것이 맞다. 비록 지금 가난한 연인일지라도 더 나은 미래가 기다릴 것이라고 확신한다면 연애 본능을 포기하지는 않을 터다. 청년들이 연애 파업을 하는 나라, 그건 ‘미래가 없다’는 선언은 아닌지.
우경임 논설위원 woohah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