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사거리 500㎞ 추정…정점 50㎞ 저고도 특징 대응 시간 줄고 교전 고도 낮아져 방어 어려워
북한의 신형 단거리 미사일이 남한 전역을 사정권으로 둘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기존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로는 대응이 어려운 것 아니냐는 주장과 함께 군 당국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북한은 지난 9일 평안북도 구성 일대에서 러시아 이스칸데르 지대지 미사일을 개량한 것으로 추정되는 신형 단거리 미사일을 2발 발사했다.
이 미사일은 각각 420여㎞, 270여㎞의 사거리를 비행했으며 정점 고도는 45~50㎞ 정도였다. 특히 내륙을 가로로 관통해 안정성 측면에서도 어느 정도 검증을 마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고체연료를 사용해 준비시간도 10분 정도로 짧은데다 탱크 바퀴 같은 궤도형 이동식발사차량(TEL)을 갖추고 있어 탐지가 어려운 산 속에서 은밀하게 기동할 경우 사전 식별이나 선제 타격도 어려울 수 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미사일의 고도와 비행궤적이다. 우리 군은 종말단계에서 요격하는 방어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이 미사일은 종말단계에서 복잡한 비행형태를 보여 예측하기가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탄도미사일과 달리 50㎞ 이하 저고도로 날아올 경우, 이에 대응할 시간이나 교전 고도가 현저하게 줄어들거나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가령 40㎞ 고도부터 방어 가능한 사드(THAAD)의 경우, 고도 50㎞의 미사일에 대응할 수 있는 거리가 10㎞밖에 남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신종우 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이같은 무기체계는 하층 요격체계가 여러 발을 쏴서 확률을 높이는 방법 밖에 없다”며 “과거에는 통상적인 궤적으로 내려오는 탄도미사일의 경우 2발 발사해서 방어했는데, 이번처럼 중간에 회피기동을 할 경우 3발 이상 쏴야한다는 결론이 나온다”고 지적했다.
군 당국은 종말단계에 다층방어가 가능하도록 방어시스템을 구축해나가고 있다는 입장이다.
실전배치된 교전 고도 20~40㎞의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M-SAM)과 함께 오는 2021년부터 전력화할 예정인 PAC-3 MSE 등으로 요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량형인 PAC-3 MSE는 최대 40㎞까지 요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교전 고도가 40~150㎞에 달하는 사드와 현재 개발 중인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L-SAM) 등으로 다층 방어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관련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우리 군의 대응체계에 대해서 우려하시는 부분을 충분히 이해한다”며 “패트리엇 체계를 중심으로 종말단계에 다층방어체계를 구축해서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고, 또 미사일 방어능력을 지속 보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