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올 1분기(1∼3월)에 이자수익으로만 10조1000억 원을 벌어들였다는 금융감독원 발표가 어제 있었다. 4개 분기 연속 10조 원 이상의 이자수익으로 사상 최대 호황을 이어가고 있다. 은행들은 지난해 많은 제조업 기업이 수출 및 경기 부진에 따른 실적 쇼크를 겪을 때도 고객의 돈으로 40조3000억 원의 이자수익을 올려 나 홀로 호황을 누렸다. 이 돈으로 은행의 일부 임원은 수십억 원의 연봉을 챙기고 직원들은 억대 연봉에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
금융산업의 한 축인 은행이 수익을 올리는 것을 나쁘게 볼 수만은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 은행들은 정부 규제의 틀 속에서 독과점 영업으로 손쉽게 돈을 번다는 비난이 끊이지 않는다. 예금과 대출금리의 차이인 예대마진이 은행의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선진국은 60% 안팎인데 한국은 90% 수준이다. 특별한 영업 노하우를 발휘했다기보다는 앉아서 이자장사로 번 수익이다. 예금금리는 올릴 때는 찔끔, 천천히 올리고 대출금리는 그 반대라는 게 은행 고객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다. 그런 행태가 요즘 같은 불경기에도 은행들이 분기마다 10조 원대의 이익을 올리는 바탕이 된 게 사실이다.
나라경제가 잘 돌아가려면 타이밍에 맞춰 적재적소에 자금이 투입돼야 하고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게 은행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은행들은 기업을 평가하고 발굴하는 노력과 실력이 부족하다 보니 중소기업이 어려워질 기미를 보이면 가장 먼저 달려들어 대출을 회수하거나 담보자산을 처분한다. 비 내릴 때 우산을 걷어가는 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