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의류공장들도 눈물… 80%가 “주문 줄었다”

입력 | 2019-05-16 03:00:00

봉제 등 동대문 일대 100만 종사 ‘패스트패션’ 이끈 생산기지 주역
“이러다 샘플제작마저 해외 뺏길판”




동대문의 패션 시스템은 의류 도매상에 고용된 디자이너가 원단과 부자재를 구입하면 인근 지역 봉제공장에서 샘플과 패턴 작업을 거쳐 제조해 이를 다시 동대문 시장에 유통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왔다. 동대문 패션 클러스터가 반경 10km 안에서 디자인과 생산, 판매가 이뤄지는 ‘패스트패션’의 원조가 될 수 있었던 것도 봉제공장들이 동대문 시장 인근에 밀집해 있어 가능한 일이었다.

동대문 패션의 생산기지 역할을 맡고 있는 봉제공장은 동대문구, 중랑구, 종로구, 성북구 등 동북권역에 흩어져 있다. 업계는 동대문 일대의 원단, 봉제, 배송 등 종사자 규모를 100만 명가량으로 보고 있다.

최근 동대문 시장의 침체로 일감이 크게 감소하자 후방 산업인 인근 봉제공장들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서울산업진흥원의 ‘도시형 소공인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동대문구 장안동, 용신동 등 4164곳의 의류 제조 공장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81.9%가 ‘전년보다 이익이 줄었다’고 답했다. 이익이 줄어든 이유로는 △기존 고객 주문량 감소(79.7%) △신규 고객 감소(32.2%) △외부적 요인(28.7%) △임대료 및 관리비 증가(24.5%) △생산원가 상승(13.7%) 등을 꼽았다.

봉제공장 1만여 곳이 몰려 있는 중랑구의 모 봉제업체 대표는 “큰손이었던 중국 도매상들이 동대문을 더 이상 찾지 않으니 동대문 시장에 납품하는 일감이 크게 줄었다”며 “패션 대기업들마저 인건비가 싼 해외에서 제조를 하니 우리 같은 영세 봉제업체들은 공장을 닫는 것밖에 답이 없다”고 말했다.

패션업계는 의류제조 전후방 산업의 기초인 봉제인력이 사라지면 최소한의 샘플마저도 해외에 나가서 만들게 되는 날이 올 수 있다며 우려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봉제공장 대부분은 정부의 지원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93.7%는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참여 경험이 없다’고 밝혔다.

염희진 기자 salthj@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