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학위를 따려 한국을 찾는 중국인들이 급증하면서 한국의 일부 대학들이 중국의 ‘속성 학위공장’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인들의 박사학위 유학이 급증한 것은 중국 정부가 교육 선진화를 내세워 자국의 대학교수들에게 박사학위를 요구한 것이 계기가 됐다. 중국의 교수 163만여 명 중 박사학위 소지자는 25%에 불과하다.
그 결과 한국 대학원에 적(籍)을 둔 석사 출신 중국인 유학생이 5년 사이에 2배로 늘어 3600여 명에 이르고 전문 브로커가 전국을 오가며 활동하게 됐다. 속성 학위가 필요한 중국 유학생들과 극심한 재정난을 겪는 한국 대학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 박사학위 관리가 엄격히 이뤄지지 않고 학위가 남발되면서 대학원 현장에서는 학사 운영이 파행을 빚거나 한국인 교수와 학생들이 ‘자괴감’을 호소하고 있다. 급기야 한 지방대가 한 학기 과목을 12일 만에 끝내 논란을 빚자 중국대사관이 교육부에 “한국 학위를 믿어도 되느냐”며 항의하는 일마저 있었다.
유학생 유치는 학령인구 감소와 11년째 이어진 등록금 동결로 극심한 재정난에 몰린 대학들에는 사실상 유일한 재정적 비상구다. 특히 비수도권 일부 사립대들은 유학생 대거 유치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다고 한다. 교육부도 2017년부터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학사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집중이수제’를 도입했으나 일부에서 악용되자 전국대학원장협의회가 자체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도 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학부 이상 유학생과 어학연수생은 14만2200여 명으로 2013년 대비 65% 급증했다.